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페로브스카이트 발광효율 100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산화물로 용액 공정이 간단하고 전기전도성이 높아 차
세대
디스플레이 발광소재로 꼽힌다. 하지만 결정의 크기가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거대해 발광에 관여하는 전자와 정공이 쉽게 결합하지 못하고 소멸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페로브스카이트를 디스플레이 ... ...
기계연, 유연인쇄전자산업 육성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한국이 전통적으로 잘해온 산업분야에서 더 나아가 미래
세대
를 위한 새로운 산업을 개척해야 할 때”라며 “힘을 모아 융합 신기술 및 융합산업 서비스를 발굴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 ...
양자컴퓨터 구현할 양자물리계 핵심 두 개념 관계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작동한다. 양자컴퓨터는 입자에 관한 물리학 기초이론인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한 차
세대
컴퓨터 기술이다. 일반적인 컴퓨터보다 월등한 연산능력을 보유한 슈퍼컴퓨터가 150년에 걸쳐 처리할 양을 양자컴퓨터는 몇 분 만에 끝낼 수 있다. 양자컴퓨터는 ‘양자측정’이란 과정을 통해 큐비트에 ... ...
KAIST 빛낸 연구성과에 신개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연구상인 ‘연구대상’은 조병진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에게 돌아갔다. 조 교수는 차
세대
나노 전자소자 및 플렉서블 에너지 소자 분야에서 독창적인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조 교수는 리서치데이 행사에서 ‘반도체 소자와 에너지 소자 분야에서의 한계 돌파’를 주제로 강연한다. 박용근 ... ...
'양초' 성분으로 차
세대
소재 그래핀 주름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홍진용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산업선도연구단 선임연구원이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전사된 그래핀을 살펴보고 있다. 화학연 제공 양초의 주성분인 파라핀을 이용해 그래핀 제조공정에서 생기는 주름과 불순물을 없애는 기술이 개발됐다. 홍진용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산업선도연구단 선임연구원과 ... ...
스마트폰 위치 찾기 오차 30m이내로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수집한 약 1만 건 이상의 테스트 데이터의 평균 위치 오차는 약 30미터다. KAIST 제공. 4
세대
이동통신인 롱텀에볼루션(LTE) 신호를 이용해 실제 환경에서 평균 30m 이내 정확도로 스마트폰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공승현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LTE 신호만으로 ... ...
우주망원경 장착된 차
세대
소형위성1호 본격적으로 임무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자립도를 높이고 우주기술 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차
세대
소형위성1호는 광시야 적외선 영상분광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사자자리 나선은하(M95)의 파장대별 밝기도 측정했다. 과기정통부 제공 ... ...
더 밝고 전기 적게 쓰는 QLED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OLED)보다 나타내는 색 영역이 넓고 뛰어난 색 재현성을 가지고 있어 차
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꼽힌다. QLED 디스플레이 소자는 양 전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양자점에서 만나 빛을 내는 원리다. 이 과정에서 전자는 자유롭게 이동하는 반면 정공은 전극과 양자점 에너지 간 전달이 어려워 ... ...
R&D 예타 소요기간 13.5개월서 6개월로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0년부터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총 사업비 2596억원이 투입되는 ‘차
세대
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을 맡는다. 이 밖에도 산업계 파급력이 강한 연구개발 사업도 예타를 통과했다. 전기차와 연료전지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시장자립형 3
세대
xEV 산업육성사업’, ... ...
“휴대전화에 배터리 끼우듯 건물에도 배터리 넣을 수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수명이 일정치 못해 아직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차
세대
레독스 흐름 배터리로 승부를 걸고 있다. 이들은 ‘기계의 달인’답게 전해질을 흐르게 하는 펌프를 자체 개발한 기술로 소형화해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였고, 건전지 모양의 소형 케이스 안에 부품을 다 넣어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