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람은 우주로 여행하고 한 사람은 지구에 남아있다고 하자.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최
초
의 우주인이 탄생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그리 먼 미래도 아니다.우주로 여행하는 사람은 자기 시계로 1분마다 지구로 송신해 자신이 잘 여행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지구에 남아있는 사람은 우주를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수소연료 경주차량인 것이다.BMW의 볼프강 슈트로블 박사는 “기존 가솔린 엔진을 기
초
로 한 채 엔진의 연료 분사시스템을 수소연료에 맞게 변형했다”며 “영하 250℃까지 냉각시킨 액화 수소를 미세노즐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연소시키는 원리”라고 설명했다.이는 그동안 연료전지를 바탕으로 ... ...
'사이언스' 선정 2004년 10大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포착됐다. 1
초
에 44번 회전하는 펄서를 먼저 발견했고 그 뒤 이 펄서 주위를 도는 별이 2.8
초
에 한번씩 회전하는 펄서임이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7위 _ 양서류 30% 급감세계 곳곳에서 동식물종이 급감하고 있다는 보고가 잇따랐다.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연구소는 이들의 천적이 호주산 무당벌레(Rodolia cardinalis)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2002년
초
무당벌레를 풀어놓아 벚나무깍지벌레를 먹어치우게 했다.- 가장 박멸하기 어려운 침입종은 무엇인가.쥐다. 섬의 모든 지역에 퍼져있는 데다가 그 수도 어마어마하다. 구석구석마다 쥐약을 뿌리기에는 예산도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위성은 다르다. 미국 워싱턴대 클리포드 윌 교수에 따르면 위성에서는 하루에 7밀리
초
(1ms=1000분의 1
초
)씩 시간이 느려진다.더 큰 문제는 중력이다. 위성은 지표면에서 2만km 높이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중력이 표면의 1/4에 불과하다. 중력이 약한 곳에서는 시간이 빨리 간다(실제로는 외부 관찰자가 ... ...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그래서
초
끈이론을 21세기 물리학이 20세기에 성급하게 발견된 것이라는 말도 있다.
초
끈이론 학자들은 마치 철로를 놓아가며 기차를 모는 듯한 작업을 하고 있다.끈이론은 물리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분명 도전을 해볼만한 분야이다. M이론이라는 미답지에 대한민국의 국기를 꽂기 위해 지금도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맥홀쯔혜성은 밤하늘 중앙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로지르는 궤도를 갖고 있다. 1월
초
순 황소자리 영역에서 시작해 1월 하순까지 페르세우스자리로 이동한다. 그후로도 이 혜성의 북상이 지속돼 3월 8일 경이 되면 북극성 주변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혜성 밝기는 다시 어두워져 6등급대가 된다. 이를 ... ...
5. 예술과 철학을 뒤흔든 상대성 이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거시적인 이론인 상대론과 미시의 세계를 지배하는 양자론을 조화하려는 노력이 벌써
초
끈이론으로 그 모습을 들어내고 있다. 아인슈타인은 21세기에도 큰 변화를 주도하는 힘이 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상대성이론 탄생 100주년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2. 빛보다 빠른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해독됐다.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게놈 상의 변화를 추적해보는 최
초
의 시도였다. 3가지 품종은 브로일러(Broiler), 레이어(Layer), 실키(Silkie)다. 그 결과 적색들닭과 개량종은 서로 염기 1000개당 5개꼴로 차이가 났다. 연구자들은 “야생종과 개량종의 게놈을 비교하는 연구는 좀더 ... ...
수면장애 환자 왜 깊은 잠 못들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돌연변이 쥐는 수면 동안에 정상적으로 나오던 델타파가 소멸됐으며 수면 중 수~수십
초
동안 깨어 있을 때와 같은 뇌파를 보이는‘단기 각성’상태가 크게 증가해 깊은 잠을 자지 못했다.신 박사는“T타입 칼슘채널 유전자는 깊은 잠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며“몽유병, 야경증 등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