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의 선두지휘자 박종오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일단 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단의 단장이 어떤 역할을 갖는지를 물었다. 그는 “21
세기
프론티어사업은 모든 책임이 단장에게 있다”는 말로 얘기를 시작했다. 사업단의 최종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제들을 정하며, 이를 추진시키는 일이 단장으로서 첫번째 역할이다. 또한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하늘에 떠서 비행기다운 빠른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당연히 가벼워야한다. 기원전 13
세기
무렵부터 신소재로 떠오르며 자신의 시대를 열어젖힌 철(강철)은 현대에도 유용하게 사용 되는 재료다. 하지만 철은 비중(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물질과 같은 부피를 가진, 1기압, 4℃ 상태인 물의 질량 과의 비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었던 플레이트 아머는 15
세기
가 돼서야 등장했으며 프로도가 입고 있던 링 메일은 10
세기
에 등장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판타지에서 역사적 고증을 하려는 시도는 드래곤이 불을 뿜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생물학자만큼이나 어리석은 일이다. 미들 어스는 이 세상에 존재했던 세계가 아닌 톨킨의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과학 100년우리나라에 서양의 과학기술이 본격적으로 소개된 것은 19
세기
후반이었다. 17
세기
에 과학혁명을 이루고 그것을 바탕으로 산업혁명과 자본주의 발달을 이룬 서양의 과학기술은 개항과 함께 물밀듯이 조선에 들어왔다.개항 이전에도 과학을 연구해 훌륭한 성과를 거둔 실학자들이 있었지만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하면 화재에도 잘 견디고 추위에도 강한 집이 되는 장점이 있다.한편 세한도가 그려진 19
세기
전반의 조선 그림은 영·정조대의 이른바 ‘진경산수’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자연을 직접 답사해 그 실제풍경을 그리는 화풍이 정착했다. 또한 세한도가 그려진 시기는 우리 풍속화의 대가인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만들기 위해 자전거에 기어가 적용되기 시작했다. 기어와 톱니바퀴의 아이디어는 이미 15
세기
에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처음 소개됐지만, 자전거에 적용되기까지는 약 4백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뒤였다.기어는 사람의 힘을 뒷바퀴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면서도 사람이 지속적으로 페달을 돌릴 수 ... ...
달까지 거리 재는 21
세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얼마일까. 지구 중심에서 달 중심까지의 평균거리는 38만5천km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이 거리를 5년 동안 mm의 정확도로 재겠다고 나서서 화제가 됐다. 주인공은 미국 워싱턴대의 천문학자 톰 머피 박사로 지난 1월 16일 영국 BBC뉴스에 소개됐다.현재 달까지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증가시켰다.한편 이때까지 액체화되지 못한 기체가 있었다. 바로 헬륨이다. 헬륨은 20
세기
들어서야 액체화됐다. 1908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오네스는 헬륨을 액체화함으로써 냉동액체 중 끊는점이 가장 낮은 온도인 4K까지 극저온의 영역을 넓혔다. 이로써 ‘모든 기체는 온도를 내리면 결국 액체가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0
세기
IT 산업과 같은 호황을 21
세기
에는 MEMS에서 맛볼 것이다. 이같은 프론티어의 꿈을 앉고 앞으로 나가고 있는 국내 MEMS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이다. 이 사업단을 찾아가 국내 MEMS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지난 2000년 세계적으로 IT 산업이 최고의 각광을 받으면서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소각되거나 땅에 묻혔다. 하지만 여기에 난치병을 고칠 수 있는 귀중한 생명재료와 21
세기
생명공학을 이끌 소중한 재료가 들어있다면…. 첨단 생명공학으로 다시 이용되는 탯줄과 태반의 과학을 살펴보자.서울 시내의 한 산부인과. 숨이 넘어갈 듯한 산모의 비명과 고통 속에 새로운 생명이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