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승과 제자, 카시니와 뢰머과학동아 l2006년 02호
- 1712년에 생을 마쳤다. 그로부터 13년 뒤 영국 천문학자 브래들리는 광행차를 이용해 빛의 속도를 측정해서 그의 제자 뢰머의 계산이 맞았음을 증명했다. 합,충 : 합은 지구에서 볼 때 어떤 행성이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충은 지구에서 볼 때 행성이 태양의 정반대 위치에 오는 ...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진동수가 변하는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에 관하여 별의 운동방향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할 때 각 쌍의 유전자 분리 · 재결합이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 ...
- 밤하늘을 수놓은 우주해파리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이 사진을 공개했다. 허블, 스피처, 갤렉스, 찬드라 우주망원경으로 각각 다른 파장의 빛을 찍은 장면을 합성한 것이다. 각 우주망원경은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X선을 관찰한다.애플톤 교수는“사진은 잔잔한 연못에 돌을 던지자 동심원이 퍼지는 모습과 비슷하다”며“1억년전 바퀴은하에 작은 ...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과학동아 l2006년 02호
- 발견과 그것을 정육면체의 배적(倍積)문제의 해결에 이용한 것으로 유명하다이 밖에 햇빛오목거울에 관한 연구와 집필, 구를 평면에서 일정한 비율로 베어내는 문제 등을 해결했다246~330 고대 알렉산드리아에서 활약한 그리스의 수학자 대수학의 아버지라 불린다특히 정수론(整數論)에 공헌이 ... ...
- 분자의 과속은 무죄!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상태가 된 뒤 1.2나노초 만에 에너지를 방출하고 다시 원래의 바닥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낸다는 사실을 밝혔다.1995년부터 김 교수는 ‘스피드’를 높였다. 나노에서 피코, 펨토까지 수년 새 시간을 100만배나 단축했다. 1997년 창의연구단을 시작할 때는 과학자들에게도 생소했던 펨토초 연구를 ... ...
- 명화보다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06년 02호
- 표현하려고 물감을 화면에 신속하게 덧칠하는 바람에 오히려 칙칙한 그림을 만들었다. 빛은 삼원색을 섞으면 흰색이 되지만 물감은 검은색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려고 했던 신인상주의 화가 쇠라는 화학자가 쓴 ‘색채의 대비와 조화의 법칙’ ‘현대색채론’ 등을 읽으며 과학 지식을 ... ...
- 적록색맹의 경쟁력과학동아 l2006년 01호
- 원추세포를 통해 인지된다. 적록색맹은 녹색을 인지하는 원추세포가 적색과 가까운 빛을 인지하도록 변형돼 적색과 녹색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적록색맹에 관련된 유전자는 X염색체에 존재하며 남자의 6%가 적록색맹이다.연구팀은 녹색계통의 색을 단계별로 구분해 보여주고 색을 구별할 수 있는지 ...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과학동아 l2006년 01호
- 과학기술문명 시간여행’(1993.4) ‘우주론의 혁명 상대성이론’(1993.9) ‘상대성이론, 빛의 수수께끼 추적’(1994.5) ‘혜성과의 충돌 임박, 목성 대연구’(1994.6) ‘지구위협 혜성, 소행성의 정체’(1994.7) ‘달도시, 21세기 세워진다’(1994.9) 등으로 특집 기사가 숨가쁘게 이어졌다. ‘아스트로 월드’ 등 ... ...
- 스트루베와 뉴컴과학동아 l2006년 01호
- 것이다. 바로 밝은 별의 허상(ghost)이었다. 즉 그가 본 것은 실제 별이 아니라 밝은 별빛이 망원경 렌즈 면에 부딪쳐 만들어낸 ‘존재하지 않는’ 별이었던 셈이다. 20 년 지나서야 찾은 별스트루베는 자신이 큰 실수를 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곧 자신의 발견이 잘못됐음을 발표했다.시간이 ...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과학동아 l2006년 01호
- 소재 텍사스대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블랙홀 모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블랙홀은 빛조차 꿀꺽 삼키는 특이한 천체다. 언제부턴가 그의 이름 앞에는 ‘블랙홀 박사’란 별명이 따라다녔다.“바둑에 외길 수순이란 게 있죠. 제 인생은 천문학, 즉 블랙홀을 향한 외길 수순이었던 것 같아요.”물론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