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낙하한다. 이 두 가지의 상대운동으로 전하가 분리된다. 이같은 발전 작용이 강해지면
공기
의 절연이 파괴돼 불꽃방전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를 화재번개, 화산번개라 한다. 화재번개나 화산번개는 보통의 번개에 비해 잘 나타나지 않으나, 연기가 많이 솟는 화재나 분연이 많은 화산폭발이 일어날 ... ...
화산·얼음·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그 분출구를 막고 있던 지각을 날려버릴 것이다. 그 다음으로 오는 것은 화산이 발생시킨
공기
오염으로 태양 광선이 더 차단되어 지구를 더 식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빙하기는 더욱 길어질 것이다.비록 해저에 있는 화산이라 할지라도 우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것들은 치명적인 가스 재 불들을 ... ...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일어나는 현상이다.
공기
중에는 원래 약 2백-4백ppm의 탄산가스가 존재한다. 이것이
공기
중의 물방울과 반응하면 약산성인 탄산이 된다.C${O}_{2}$ + ${H}_{2}$O ⇀ ${H}_{2}$C${O}_{3}$${H}_{2}$C${O}_{3}$ ⇌ HC${O}_{{3}^{-}}$ + ${H}^{+}$HC${O}_{3}$ ⇌ C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차례로 내습하기 때문이며 호우를 동반하는 것은 태풍이 수증기를 많이 함유한
공기
덩어리이기 때문이다.태풍은 등압선의 모양이 대체로 원형을 이루고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다. 등압선의 간격은 중심으로 갈수록 조밀해지나 진행방향의 왼쪽보다는 오른쪽에서 조밀하다. (그림6)은 태풍 전후의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붙어 있기 때문에 급회전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공중을 날자면 날개를 움직여서
공기
를 뒤로 밀어야 한다. 그러자면 날개는 자연히 엷고 가볍고 튼튼해야 한다. 잠자리 날개는 유충의 기문(氣門)의 상측에 발달한 아가미가 기능전화한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다. 불완전탈바꿈의 묘미잠자리는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우리 문화에 기반을 둔 제품들을 응용해 이를 발판으로 삼으면 된다는 점에서 그는
공기
방울 세탁기나 국 끓이는 전자 레인지, 물걸레 청소기 등 최근 선보이고 있는, 이른바 '한국형 제품'의 등장을 매우 고무적으로 평가했다."물론 일본과 우리의 연구환경이 크게 다른 것은 사실입니다. 이전보다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깨뜨리고 근대적인 원소관을 정립할 필요를 느꼈다. 당시까지 사람들은 물질이 물 불
공기
흙의 4원소로 되어 있으며 원소들은 상호 변환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물이 담긴 유리를 오래 가열할 때 생기는 앙금을 물이 변해서 생긴 흙이라고 믿고 있었다. 라브아지에는 이를 반증하기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지구표면에 접근하는 중에 이 캡슐형 우주선은 비행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큰
공기
저항을 받게 돼 급속히 감속 된다.이런 탄도궤적 재돌입은 일종의 낙하운동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지구표면의 착륙지점은 대기층 돌입 초기의 운동상태에 의해 이미 결정된다. 일단 재돌입이 시작된 후에는 캡슐에 ... ...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신소재 콘크리트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점이다.그러나 다공질 콘크리트는 모든 건축물에 적합하지는 않다. 구멍이 많아
공기
나 물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빌딩의 천정이나 외벽에는 사용할 수 없다. 우선은 발전소나 제철소 등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대형시설이나 양식장에서 그 능력을 시험할 수 있으며, 도로포장에 사용할 경우 ... ...
모두를 위한 남극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얼음은 지구 대기의 역사를 말해주기도 한다. 깊은 얼음 한가운데에 있는
공기
방울이 그
공기
가 갇힐 당시의 지구대 상태를 말해주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남극의 야생동물이 살아남기 위해서 가지고 있는 특이한 능력을 관찰한다. 남극 물의 생태계는 미생물인 해조류와 박테리아에서 시작된다.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