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시 vs 원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있거나 표면이 고르지 않을 때 많이 생기지요. 마치 울퉁불퉁한 물체를 만난 빛이 여러
곳
으로 꺾여 사방으로 반사되는 것처럼요. 사실 난시는 대부분의 사람이 갖고 있어요. 정도가 약해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뿐이지요. 하지만 난시가 심해지면 물체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고 오른쪽 사진의 ... ...
창간 10주년 기념 앨범 우리가 열 살 즈음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이상하더라도 애교로 봐 주세요♥지금의 열 살 즈음 어린이에게나이도 제각각, 살았던
곳
도 달랐던 사진 속 주인공들은 모두 ‘국민학교’에 다녔어요. 지금의 ‘초등학교’가 1996년 2월까지는 국민학교로 불렸거든요. 건강하게 뛰어 놀고 해맑게 웃던 열 살 어린이들은 이제 어른이 되어 어과동을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논문은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가 사는
곳
의 차이를 연구해 수원청개구리가 논이 많은
곳
에 산다는 사실을 밝혔지. 이렇게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이 수원청개구리가 멸종되지 않고 우리와 오래오래 살 수 있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단다.다른 생물다양성 활동도 많아~! 그 중 대표적인 것이 ... ...
2014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전시회 꼭꼭 숨어라, 현미경이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짹짹거려요. 작은 세상을 10~1000배 확대하는 현미경의 ‘마술’이지요. 생물 속 아주 작은
곳
에 숨은 큰 세상을 함께 봐요~.제11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에 입상한 사진들이에요. 충청북도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함께 여는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생명 속의 생명’들이 펼치는 작은 세계의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명예기자 1기 1번이에요.”초등학교 2학년이었던 지난 2007년. 좋아하는 잡지를 만드는
곳
에 참여한다는 사실이 신기하고 재밌어서 명예기자를 신청했어요. 명예기자증을 받아보니 제가 1번! 뭔가 더 특별한 느낌이 들어서 좋았지요. 어렸을 때라 정확히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발대식에서 ... ...
눈부시게 잠 못 드는 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 070-7780-8911, www.lighting-museum.com편안한 잠과 건강 앗아가는 빛공해밝은
곳
보다 깜깜한
곳
에서 잠을 더 편안히 잘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생체리듬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깜깜할 때 많이 나오기 때문이에요. 주변이 밝거나 빛이 새어 들어오면 멜라토닌이 잘 나오지 않아 생체리듬이 ... ...
서울
곳곳
에 구멍이 뻥뻥! 공포의 싱크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지하수가 빠져나간 자리에 많이 생긴다. 그런데 석촌지하차도처럼 흙이 두껍게 쌓인
곳
은 지하수가 빠져나갈 때도 위험하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김준모 교수는 “토양층과 암석층 사이를 각각 흐르는 지하수의 양이 똑같이 줄어든다고 했을 때, 흙으로 이루어진 토양층이 훨씬 더 잘 ... ...
3기 지구사랑탐사대가 되고 싶다면 맛보기 탐사로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궁금했던 내용이나 알리고 싶은 내용 등 탐사대원과 정보를 나누고 의견을 교환하는
곳
입니다. 자신의 탐사경험을 각 탐사 게시판에 적어 다른 탐사대원과도 나누세요 ... ...
원자력안전 1박2일 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원자력시설의 검사와 방사선 안전관리 등 원자력 안전관리의 전문 기술 분야를 담당하는
곳
이에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박사님께서는 원자력과 방사선 이용에 따른 안전관리에 대한 강의를 쉽고 재미있게 잘 해주셨답니다.우리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원자력과 방사선의 안전관리가 왜 중요한지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우려 때문에 제약사들이 치료제를 빨리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맵’도 이
곳
에서 지원을 받아 개발되었다.취재파일 4 에볼라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도 퍼질까?지난 8월 6일 대한의사협회와 대한감염학회는 “에볼라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전염될 가능성이 무척 낮으므로 심각한 공포심을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