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5,758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
과학동아
l
200504
세배나 빨리 자랄 수 있다. 충조류는 크기가 고작 0.01mm 정도밖에 안되지만 산호의
몸
속 1cm³ 당 수백만 개체가 들어있다. 산호가 화려한 색깔을 띠는 것도 충조류가 가지고 있는 색소 때문이다.비행기에서 내려다보는 열대바다는 산호초마저 없었더라면 삭막했을 것이다. 그러나 군데군데 옥색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04
뇌는 좌·우반구로 나뉘어 있다. 좌반구는
몸
오른쪽의 감각이나 운동을, 우반구는
몸
왼쪽의 감각이나 운동을 담당한다. 시각의 경우도 눈의 초점을 중심으로 오른쪽 시야는 왼쪽 뇌로, 왼쪽 시야는 오른쪽 뇌로 들어간다. 때문에 오른쪽 두정엽이 손상된 환자는 왼쪽 시야나 왼쪽 신체에 이상이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04
자생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계산해보면 약 4000종의 식물이 연간 1조2000억원에 달하는 ‘
몸
값’을 갖고 있다. 하나의 식물이 의약품으로 개발될 때는 약 450만배의 부가가치가 다시 창출된다. 마치 황금알을 낳는 거위처럼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2010년경 생명공학제품의 세계시장은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04
가동한다. 생존하기 위해 기초대사량을 줄여 에너지를 덜 쓴다는 얘기다. 온
몸
이 ‘깍쟁이’가 되는 셈. 이렇게 기초대사량이 줄어든 상태에서는 같은 열량의 음식을 먹더라도 더 살이 찐다.여성이 출산이나 폐경 후 살이 찌는 것도 기초대사량이 떨어졌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영국 과학전문지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04
음식을 먹은 뒤에는 민감도가 현격하게 떨어졌다.즈베레브 교수는 “이런 현상은 우리
몸
이 영양분을 섭취할 필요가 있을 때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흥미롭게도 쓴맛에 대한 민감도는 식사 전과 후가 변함이 없었다. 그는 “쓴맛은 독에 대한 경고이므로 민감도가 늘 일정해야한다”고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04
없을까?’디베네데또 박사팀의 이번 임무는 바로 이런 ‘꿈의 운동화’를 만드는 것.
몸
무게에 따라, 도로의 지면 상황에 따라, 달리는 유형에 따라 달리는 사람에게 필요한 쿠셔닝은 모두 다르다. 쿠션은 발꿈치가 지면에 닫을 때 속도를 줄여 발과 지면 사이의 충격량을 줄여준다. 쿠션이 너무 많이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04
유명해졌다. 하지만 말년에 그는 시력을 잃어 그간 버려뒀던 딸들에게 늙고 병든
몸
을 의탁했고, 1642년 초 추운 겨울에 세상을 떠났다.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갈릴레오는 나무판에 홈을 파고 이 부분을 평평하게 간 다음 나무판을 벽에 비스듬히 세워 놓고 홈을 따라 공을 굴렸다. 수백 번의 실험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04
“효모에서 YCF1을 얻은 후 이를 애기장대에 넣었더니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식물의
몸
안에 있어도 해를 끼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교수의 연구결과는 지난해 생명공학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식물 생리학’(Plant Physiology)에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식물이 중금속을 흡수하면 아예 중금속과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04
항암성분을 배설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 유전자에 변이가 있으면 항암성분이
몸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는다. 글루타티온 S-운반효소에 변이가 있는 사람이 암 예방에 더 유리한 이유다.미국 버클리대 로널도 크라우스 박사는 LDL -콜레스테롤과 식이요법의 관계를 연구했다. LDL-콜레스테롤은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04
담은 감자를 쥐에 먹인 결과 쥐에서 항체가 생긴 것을 확인했다. 위험한 치매 단백질은
몸
에 직접 주사하기 어려워 먹는 백신이 주사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현재 한국에서는 포항공대 벤처 제노마인이 자궁경부암을 대상으로 먹는 백신을 연구하고 있다. 생명연 곽상수 박사는 돼지설사병을 막는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