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 연구단 출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백신, 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된다. 박성규 생명과학부
교수
가 센터장으로 선임됐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10일 민간 메이커 스페이스 10곳과 ‘과학관과 메이커들의 기발한 전시’ 개최를 위한 협약을 맺는다. ‘메이커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 ...
[의학게시판] 임신 중 유방암 발견환자 협진으로 분만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서울보라매병원은 이정환∙이정표 신장내과
교수
와 오소희 서울대 의대 의생명연구소
교수
팀이 체내 중금속 및 유기화학물질이 쌓일 경우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이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만성콩팥병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돼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 ...
"어린이 다기관염증증후군 평년 수준"…코로나19 영향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강조했다. 최은화 서울대병원 소아과학교실
교수
와 김경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팀은 국내 3차병원 두 곳에서 2015년부터 올해까지 입원한 어린이 다기관염증증후군 환자를 조사한 결과를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대한의학회지(JKMS)’ 8일자에 발표했다. ... ...
창의재단 이사장 4명 연이은 중도 사퇴…요원한 기관 정상화
2020.06.09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망가졌다는 게 대체적인 안팎의 시각이다.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는 “최근 이사장을 보면 과학자들이 대부분인데 과학자들이 기관을 맡아 문제를 일으켰다는 점에서 굉장히 부끄러운 일”이라면서도 “창의재단 이사장 개인의 문제도 있겠지만 ... ...
미 연구진 "코로나19, 작년 8월 발생 가능성"…중 "황당한 주장"(종합)
연합뉴스
l
2020.06.09
유행하고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이와 관련, 중국 당국은 브라운스타인
교수
팀의 주장이 황당하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9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아직 관련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지 못했지만, 차량 통행량으로 이런 결론을 내린다는 것은 ... ...
"한국 코로나 방역 미비했다면 환자 3800만명까지 늘었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할 점으로 꼽혔다. 대부분의 조치는 시작 뒤 3주 뒤 제대로 된 효과를 냈다. 시앙
교수
는 “현재 여러 나라가 방역조치를 완화하고 있는데, 그 결과 역시 2~3주 뒤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초기에 조치를 빨리 실시하지 않을 경우 극적으로 큰 차이를 낳는다”며 “현재 환자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흑인을 볼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09
뿌리 깊게 박혀 있고 심지어 흑인들조차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에버하르트
교수
가 “동네나 일터, 학교에서 인종 다양성을 크게 하는 게 도움이 된다”며 “아울러 편견을 없애는 교육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 이유다. 문득 인종 차별이 미국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외국인 ... ...
WHO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 전염력 거의 없어" 전문가들 "그래도 경계 늦추지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수 있는 양의 바이러스를 내뿜는다는 연구결과였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무증상 또는 경증 상태에서도 은밀하게 타인을 전염시키는 ‘스텔스 바이러스’”라며 "이런 특성을 주시하고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WHO의 주장이 실제 사실이라면 ... ...
코로나19 사태는 끝 아닌 시작… 英 연구진 ‘패턴 예측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베일리스
교수
도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반복적으로 질병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빠르게 찾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해질과 액체 금속의 연결고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7
전자 집중도를 만들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틸만 버터색 체코과학원
교수
는 독일, 프랑스, 일본 등 국제 공동연구진과 함께 냉장 상태의 암모니아 용액에 용해된 알칼리 금속의 양이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과잉 전자에 대한 실험을 엑스레이 광전자 분광법을 활용하는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