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뉴스
"
기계
"(으)로 총 3,861건 검색되었습니다.
튜링은 어떻게 독일군의 암호를 풀었나
2015.02.06
2013년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은 튜링을 공식 사면했다. 이 연구원은 “최근에는 튜링
기계
를 뛰어넘어 사람의 뇌를 닮은 신경모방컴퓨터도 등장했다”면서 “튜링이 꿈꾼 ‘사람처럼 사고하는 컴퓨터’를 만들기 위한 새로운 해답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영화사 하늘 ... ...
‘뽀로로’에서 인공지능 탄생?
2015.02.03
장 교수는 “어린 아이들이 영어 동영상을 보면서 영어를 배워 가는 과정을 본떠
기계
에 구현했다”며 “먼저 이미지와 단어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고 인지 기능을 발달시켜 가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또 “만화영화보다 복잡한 미국드라마 ‘프렌즈’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스스로 학습하며 ...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뭐가……될까?
과학동아
l
2015.02.03
직접 방문하면 이름을 부를 때의 음파 주파수를 측정해 주냐고 물어봤습니다. 하지만 “
기계
로 측정하는 건 아니고 주파수가 다 정해져 있다”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모든 발음에 대한 주파수를 다 측정해 놓은 자료라도 갖고 있나 싶었는데, 여기서부터 슬슬 설명이 이상해졌습니다. ‘고’ 자는 ... ...
이제는 적외선까지 3D로 감지
2015.02.02
감지할 수 있는 기술까지 등장했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대는 앤서니 로빈슨
기계
및제조공학과 교수팀이 적외선 에너지의 존재와 분포 지도를 세밀하게 만들어 3차원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한 종합 솔루션 ‘허셜(Herschel)’을 개발했다고 지난달 29일 발표했다. 허셜은 19세기 적외선 ... ...
액정 모니터는 네모에 딱딱하다고?
2015.01.29
연구진이 압력, 구부림 등
기계
적 변형에 강하며,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색이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 신개념 액정 제조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김윤호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팀은 김신현 KA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미세유체소자 기술과 액정배향제어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액정 제조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와 비슷하다. 로봇을 ‘사람의 조정에서 벗어나 자율성을 지니는
기계
’라고 정의할 때 기존 산업로봇과 소셜로봇의 차이는 자율성의 예측가능성 여부가 아닐까. 즉 산업로봇은 대부분 프로그램화된 반복동작을 수행하는 반면 소셜로봇은 행동의 예측불가능성이 크기 ... ...
부상병 안고 뛰는 한국형 구조로봇 첫 개발
2015.01.22
국내에서 속속 개발되고 있다. ● 부상병사 안고 전쟁터 이동 오준호 KAIST
기계
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휴보센터)는 2004년 국내에서 처음 개발한 인간형 로봇 ‘휴보’의 기술을 응용해 최근 새로운 전쟁 구조로봇 ‘T-100’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T-100은 군사용으로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하반신 마비인을 위한 기술로, 척수신경이 끊어진 환자를 위해 전극을 심고 뇌파를
기계
장치로 측정해 하반신 아래로 연결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부드러운 폴리이미드 전극에 약물이 들어 있는 나노섬유를 넣어 생체 부작용을 없앴다. 연구진은 이 전극을 하반신이 마비된 토끼의 척수에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하나가 수신자조작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이다. 이때 수신자는 사람일수도 있고
기계
(컴퓨터)일수도 있다. 자극을 접한 수신자는 이게 신호인지 잡음인지 판단을 내려야 한다. 신호라고 제대로 판단한 확률을 ‘적중확률(ture positive rate 또는 sensitivity)’이라고 부른다. 반면 잡음을 신호로 ... ...
차세대 금속 ‘마그네슘’ 환경오염 없이 생산
2015.01.14
한층 더 친환경적으로 양산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철도, 자동차 등 국내
기계
산업은 물론 스마트폰 등 첨단 IT기기 산업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재료연구소 경량금속연구단 유봉선 책임연구원팀은 ‘3세대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마그네슘을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