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적"(으)로 총 3,8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 8월달에 검도시합을 했어요^^ 앉아있는 남색도복사진이 저입니다 호구에 백재열이라고 적포스팅 l20160115
- 저 8월달에 검도시합을 했어요^^ 앉아있는 남색도복사진이 저입니다 호구에 백재열이라고 적혀있습니다.^^~~ ...
- 집에 명예기자 인증서와 선물들이 도착했어요~ 그 중 저는 이 새우 키우기와 힘차게 흔들어!포스팅 l20160113
- 집에 명예기자 인증서와 선물들이 도착했어요~ 그 중 저는 이 새우 키우기와 힘차게 흔들어! 가 제일 마음에 들어요 그 중 '힘차게 흔들어'는 2015년 어과동 화보에도 등장한 적이 있어서 눈길이 가네요. 아직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감사합니다♥ +명예기자로 선발이 된 만큼 올해도 최선을 다하는 금예원 기자가 되겠습니다~ ...
- 현수교와 자이로드롭의 너희들의 진짜 정체는? 현수교와 자이로드롭의 대해 알아보자.(출동!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취재)기사 l20160113
- 물리적인 브레이크와는 달리 유도와 맴돌이 전류를 이용해 물체를 느리게 하는 원리에요. 장점은 마찰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인 마모를 크게 줄여 줄 수 있으며, 소음도 거의 없어요. 실험실에서 구리관과 플라스틱관에 자석을 넣어 실험을 해 봤습니다. 실험 결과, 구리관에 넣은 자석이 가장 안전하게 떨어졌어요. 이것은 맴돌이 현상이 ...
- 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1224
- 스마트폰으로 자동차를 운전하고, 로봇을 조종하는 미래를 상상해 본 적 있나요? 영화에서나 가능할 것 같았던 일들이‘사물 인터넷’의 발전 덕분에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호(2016년1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3회 파주 장릉을 다녀오다 누구를 위한 반정인가? 굴곡진 삶을 오롯이 닮은 인조 이야기기사 l20151221
- 무덤 형태인 합장릉(合葬陵)은 왕과 왕비를 하나의 봉분에 합장하고 상설한 형태로 세종과 소헌왕후의 능인 영릉이 최초이며 대표적입니다. 조선왕릉에서 합장릉은 모두 7기가 있어요. 여기에는 왕과 원비 그리고 계비를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동봉삼실(同封三室)의 능이 있는데, 유릉이 이에 해당합니다. 유릉에는 순종과 순명황후, 순정황후 세 분이 하나의 ...
- 출처:위키백과(도라에몽) 도라에몽, 노비타, 시즈카, 타케시, 스네오, 미니도라는 남코의포스팅 l20151219
- 데려가 경찰관이 된다. 엘 마타도라 도라에몽의 동급생. 스페인 출신으로 동급생 중 가장 힘이 세다. 정오가 되면 무조건 잠드는 신체적 특징이 있다. 기타 편집 닥터 로봇 한국 : 심정민 도라에몽이 쥐에 의해 귀가 갉아먹히자 이를 치료하기 위해 도라에몽이 입원한 병원의 의사. 의료사고로 인하여 도라에몽의 귀를 완전히 없앤다. 후지코 F. 후지오 ...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다녀오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HVEM): 원자구조를 3차원으로 구현하는 수리수리 마하수리기사 l20151214
- Knob와 오른쪽에 있는 Focus Knob만 익히면 쉽게 조작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의외로 포커싱이 까다로웠습니다. 반복해서 연습하다보면 감각적으로 해낼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애벌레의 단면을 관찰하기 위해 FIB의 양이온빔을 이용해서 아주 작게 직사각형으로 깎아낸 뒤, 그 단면을 2만배 확대해서 관찰해보았어요. 역시 예상대로 1주일간 나름 ...
- 제가 어제 샀던 스무고개 탐정 시즌 2! '네 개의 사건'이에요. 이 책 안 읽어 보신포스팅 l20151213
- 제가 어제 샀던 스무고개 탐정 시즌 2! '네 개의 사건'이에요. 이 책 안 읽어 보신 분이라면 이 책을 읽어 보세요. 추리소설의 신세계를 느끼실 거예요. 만약 읽어보신 적이 있으시다면 이번 책은 스무고개 탐정보다 다른 아이들의 활동이 더 돋보여서 새로우실 거예요. 특히 '바보 문양이' 라고 불리던 문양이의 활약이 놀랍답니다! 꼭 한번 읽어 보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기사 l20151210
- 사관이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어서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실록이 이러한데 승정원일기는 얼마나 적나라할까 싶어 호기심이 날로 늘어가는 중입니다. 하지만 읽기 쉬운 해서가 아니라 흘림글씨인 초서로 쓰여진 승정원 일기는 아직도 번역중이라고 합니다.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승정원 일기는 1623 ...
- 500쪽 넘는 책을 읽으신 적이 있나요?저는 있 습니다.그렇다고 자랑하는건 아닙니다.포스팅 l20151209
- 500쪽 넘는 책을 읽으신 적이 있나요?저는 있 습니다.그렇다고 자랑하는건 아닙니다.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