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있고, 각 대학은 자신만을 고집하지 않고 문을 열어 놓고 있다.로잔공대는 6500명의
학생
중에서 40%가 외국인이다. 또 지난해 4월에는 우리나라 KAIST와 로잔공대가 과학기술협력회의를 열어 교류의 문을 넓히는 노력이 이어졌다. 세계로 가는 문은 언제나 열려있다. 그 문으로 들어가는 일은 우리의 ... ...
사회정의파 엔지니어 변호사 채방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과학자가 돼서 노벨상도 타고 싶었던 그가 선택한 전공은 기계공학. “당시에 우수한
학생
이 이공계로 진학하는 것은 일종의 유행이었어요. 국가 발전에 기여한다는 자부심도 가질 수 있었고 장래도 보장됐죠.”청운의 꿈을 안고 들어간 공과대학에서 그는 좌절했다. 적성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 ...
놀이가 영재가 되는 지름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원리를 보여 주었던‘토네이도’. 허창엽 친구 (마북초등학교 3학년)를 비롯한 4명의
학생
들은 이 원리를 가면에 적용했어요. 가면에 송풍장치를 달면 입에서 멋진 회오리가 이는 헐크 가면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것이지요. ‘헐크의 입김’을 진짜 만든다면 전세계 할로윈 축제를 주름잡는 ... ...
컴퓨터 앞 '땡땡이'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수업이 지루해지면 새로운 주제를 제시하거나 화면에 띄운 텍스트를 동영상으로 바꿔
학생
의 흥미를 다시 불러일으킨다. 이런 방법을 통해 가르치려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앞으로 중국에서 실제 수업 계획에 맞춰 소프트웨어를 시험해볼 예정이다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안톤 첸수스 소장과 양해각서의 조인식을 마친 필자는 귀국길에 올랐다. 30여년 전 고등
학생
때 방문했던 독일과 천문학을 공동 연구하기 위해 힘을 합치다니, 이제 우리나라도 독일의 훌륭한 파트너가 된 것이다. 앞으로 30년 뒤엔 독일과 어떤 인연이 이어질지 궁금하다. 우주의 놀라운 비밀 하나를 ... ...
라식수술 부작용 줄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끼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해봤던 생각이다. 겨울방학을 맞아 라식수술을 하려고 계획하는
학생
도 있을 것이다. 라식수술은 어떤 원리로 하며 부작용은 왜 생길까.병원에 있는 레이저의 ‘건강’ 검진카메라 렌즈의 곡면이 매끈하지 않으면 사진이 흐릿하게 나온다. 사람 눈은 망막에 초점이 제대로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남 교수는 그룹을 이끄는 간사로 활약 중이다. 현재 연구단에는 파키스탄에서 온
학생
도 있다. 게다가 이란과 이라크가 아시아 레이저 네트워크에 관심을 보이며 참여 의사를 밝혀왔다. 남 교수가 본격적인 레이저 기술 전파자로 나선 것이다.변변한 실험 장비조차 없었던 연구 초기의 어려움을 잘 ... ...
나는 어떤 얼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주의할 점! 아직 성장기인 친구들은 자라면서 얼굴이 조금씩바뀐 답니다. 예를 들어 초등
학생
때는 쌍꺼풀이 없지만 나중에 커서 생기는 경우도 32%나 되지요. 지금은 북방계나 남방계 어느 한쪽의 특징을 많이 보이더라도 자라면서 달라질 수 있답니다.동방신기는 어떤 얼굴?텔레비전으로 자주 보는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864~1909 독일에서 활동한 리투아니아 태생의 수학자 스위스 연방공과대학 교수로 있을 때
학생
이었던 A 아인슈타인은 그의 강의에 실망, 수학을 단념하고 이론물리학을 전공했다고 한다뒷날 민코프스키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공간의 좌표 x, y, z와 시간 t를 좌표로 하는 4차원 공간에서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할 실험 18개를 선정해 최근 발표했다. 이 중에는 초•중•고등학교
학생
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도 5개나 된다.우리가 쓰는 펜은 중력 때문에 잉크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지만 우주에서는 그렇지 않다. 청소년들은 자석이나 공기 압축기를 이용해 잉크가 나오게 하는‘우주 펜’을 발명해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