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에너지를 가진 점이 대폭발한 뒤 팽창하면서 우주가 만들어졌다는 이론이에요. 호킹이 대학원에 있던 시절은 우주가 팽창하지않고 항상 밀도가 일정했다는 ‘정상 우주론’과 빅뱅이론이 대립하던 시기예요. 그런데 1965년경, 우주배경복사가 발견되면서 빅뱅이론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어요. 194 ... ...
- [특별 인터뷰] 한국인이 탐사 대장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계량경제학을 연구하고 있는 한석진이라고 합니다. 고등학교에서 문과를 선택하고 대학교에서는 전공으로 경제학을 선택한 평범한 경제학 박사입니다. Q. 경제학자가 어떻게 우주프로젝트에 지원하게 됐나요?어릴 때부터 ‘우주여행’이 꿈이었어요. 그래서 우주 관련 기사나 다큐멘터리가 새로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존재를 확인해 왔어요. 지난 2017년 4월,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하기 위해 전 세계 34곳의 대학교와 천문대의 과학자 100여 명이 힘을 합쳤어요. 미국과 칠레, 멕시코 등 전 세계에 위치한 전파망원경 8대가 동시에 지구로부터 3만 5000광년 떨어져 있는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궁수자리A*’를 관측했지요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성과를 자서전에서 회상했다. 호킹은 연구의 일부를 1966년 박사학위논문으로 펴내 대학에서 애덤스 상을 받았다. "이론물리학자는 단 한나절에도, 내 경우를 보면 일과를 마치고 잠자리에 드는 동안에도 대단한 발상에 이를 수 있다" 호킹은 이론물리학을 연구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했다 ... ...
- Part 6. 일반 마스크도 효과 있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 일반 마스크는 큰 효과가 없다는 뜻이다. 황승식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미세먼지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 문제”라며 “개인에게 마스크를 쓰도록 권유하는 일도 좋지만, 노후 발전소를 없애는 등 사회적인 차원에서 미세먼지 양을 낮출 방법을 ...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없이 학생들에게만 집중하는 교수님이 있다는 사실이 든든하게 느껴졌다. 그는 앞으로 대학에서 꼭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로 바이올린 배우기를 꼽았다. DGIST는 모든 학생들이 악기 하나는 필수로 배우도록 하고 있다. 어렸을 때 누나에게 피아노를 배웠고, 고등학교 때는 일주일에 한두 차례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유일합니다. 이처럼 수학 영재로 이름을 알렸던 마놀레스쿠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서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열심히 공부합니다. 위상수학에서 어떤 공간의 일부를 살펴봤을 때 점이나 선, 평면처럼 유클리드 공간으로 보이면 이를 ‘다양체’라고 부릅니다. 이중에서 미분이 ... ...
-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딱 들어맞았던 것이지요. 이후 이 방법을 이용해 아누팜 자인 인도 조드푸르 공과대학교 연구팀도 인도 음식 2500가지를 분석했습니다. 인도 음식도 동아시아 음식과 마찬가지로 재료들의 화학 성분 공유도가 낮았습니다. 인도도 동아시아 국가들처럼 요리에 향미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다는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더 빠른 계산이 필요하지요. 최근 전산화학을 활발히 연구하는 린 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수학과 교수는 이런 계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알고리듬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차세대 생존 지침서, 수학영화 ‘메이즈 러너’는 변종 바이러스의 항체를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과학대회 수상을 위한 ‘꿀팁’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했을 경우 ‘수상경력’에 기록되는 것 이외에 어떠한 항목에도 입력되지 않습니다. 대학 입시에 학생부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수상을 하지 못하더라도 무작정 많은 대회에 참가해 학생부에 기록되는 내용의 양을 늘리려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죠. 교내 과학대회에 참가한 사실이 학생부에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