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9,47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수학동아
l
201005
밖으로 나올 수 있었죠.그런데 미노타우로스는 어떻게 만났냐고요? 성질도 급하시지.
지금
부터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미노타우로스가 갇혀 있었던 미로는 고대 미로로 길만 잘 따라가면 중앙에 도달해요. 그런데 사람들은 미로의 모양을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맞는지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수학동아
l
201005
점이 같은 곡선을 닫힌 곡선이라고 이름 붙였어요. 중요한 내용은
지금
부터랍니다.
지금
부터 제가 시키는 대로 따라 해 보세요. 구불구불한 선을 그어 닫힌 곡선을 만드세요. 그리고 안과 밖을 연결하기 위해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을 그으세요. 닫힌 곡선과 직선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홀수개지요? ... ...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수학동아
l
201005
작업을 저와 제 예술가 친구들이 했거든요. 제가 리더라 대표해서 나왔습니다. 하하.
지금
부터 하나하나 설명해 드릴게요. 프리드리히 뒤렌마트는 미로 탈출의 새로운 해법을 그림으로 표현했어요. 그는 늘 “미로의 길을 찾기위해선 어린 아이가 되어야 한다”라고 말했죠. 어린 아이의 천진함과 ... ...
난제에 영웅 난다?!
수학동아
l
201005
동안 수없이 수학자를 좌절시킨 어려운 문제와 싸우며 비밀을 한 꺼풀씩 벗겨 내고 있다.
지금
부터 굳게 잠긴 자물쇠를 열고 숨겨진 수학의 비밀을 밝혀 내는 영웅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다같이 외쳐 보자. “난제는 영웅을 필요로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 ...
은둔의 수학 영웅
수학동아
l
201005
2년 동안 검증해 오류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면 상금을 받을 수 있다.그 뒤 10년이 지난
지금
7가지 문제 중에서 해결된 문제는 단 하나에 불과하다. 바로 2006년 러시아의 그리고리 페렐만이 해결한 ‘푸앵카레 추측’이다. 페렐만은 2002년 푸앵카레 추측을 해결했다고 밝히며 논문을 인터넷에 올렸다.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05
구와 위상이 같다는 것이 푸앵카레의 추측이다. 푸앵카레의 추측은 밀레니엄 문제 중
지금
까지 유일하게 해결된 문제다.6. 버치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1994년 영국의 수학자 앤드류 와일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했다. 그러나 더 복잡한 방정식에 대해서는 정수인 답이 있는지 밝혀 내기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05
연결해 그런 효과를 낸다. GIMPS라고 불리는 이 계획은 1996년 386대의 컴퓨터로 시작됐으며,
지금
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계산 능력을 자랑하고 있다. 최근 발견된 메르센 소수는 모두 이 계획을 통해 발견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 ...
마피아 조직의 싸움
수학동아
l
201005
” 왠지 자기 자랑처럼 이야기하는 허풍이지만 믿음이 가는 말이다. “그럼,
지금
까지처럼 퍼즐을 풀어 주겠니? 우리 정보원이 입수한 거다.” 도형이 고개를 끄덕이자 안토니오가 퍼즐이 적힌 수첩을 꺼낸다. “알아보겠니? 난 도통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구나.” “삼각형 안에 적힌 수에는 어떤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때 우주로 날아갔다고 설명했어요. 그 후 이 돌은 3000년 동안 우주를 비행한 끝에
지금
부터 1만 3000년 전 지구의 남극에 떨어졌지요.실제로 매케이 박사팀은 운석을 확대한 사진에서 크기가 100㎚보다 작은 미화석 비슷한 흔적을 확인했어요. 또 생명의 흔적으로 볼 수도 있는 탄소유기물도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04
말하지만 실제로 그런 삼각형을 그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수학의 수준이
지금
처럼 높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기 어려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학이 우주의 원리를 연구하는 심오한 학문에 비해 수준이 낮다고 여겼다.수학이 자연을 설명하는 언어로 뛰어오른 것은 17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