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체
전부
전액
전반
모든
토탈
합계
d라이브러리
"
전체
"(으)로 총 5,592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10
여지가 없는 완벽한 이론이다. 인류의 과학기술은 매우 작은 소립자의 크기에서 우주
전체
를 조망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했지만 양자론에 어긋나는 단 한가지 실험도 존재하지 않는다.그렇다면 한계는 없는가. 이론물리학자들은 양자론에도 분명히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10
실감케 했다. 강원도에 있는 민족사관고등학교와 인천과학고등학교 등은 아예 한 학년
전체
가 단체로 상경, 강연에 참석하기도 했다. 또 어린 자녀들의 손을 붙잡고 강연장을 찾은 부모들도 적지 않았다.강연에서 호킹 교수는 21세기에도 과학의 발전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록 그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10
시각도 만만치 않게 존재한다. 세포는 핵 외에 미토콘드리아라는 소기관이 작은 양(
전체
의 1%)이지만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백두산호랑이 복제 연구의 경우 소나 고양이의 난자를 사용했고, 이 난자는 핵을 제거했어도 분명히 소나 고양이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복제된 ... ...
게놈기능제어연구단
과학동아
l
200010
가진다.하지만 유전자 정보를
전체
적으로 해독하면 생명현상을 이해하기 쉬워진다.이 유
전체
연구 분야에서 선두연구진으로 평가받는 곳이 바로 게놈기능제어연구단이다.0과1로 세포의 비밀 추적사람이든 나무든 모든 생명체는 기본적으로 세포 하나에서 출발한다.각각의 생명체마다 한개의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10
실험적으로 발견한 온도에 따른 열복사의 관계를 맥스웰의 전자기학을 적용해 설명했다.
전체
복사 에너지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이들의 주장은 훗날 슈테판-볼츠만 법칙으로 문헌에 나타난다(E=${σT}^{4}$). 1893년 베를린 대학에서 강사로 있던 빈은 슈테판-볼츠만의 법칙을 보다 일반적인 ... ...
실리콘밸리와 할리우드를 접목한 CNET
과학동아
l
200010
요소다.아직 매출 비중은 적지만 CNET 라디오가 2/4분기에는 1/4분기에 비해 매출 증가율이
전체
매출 증가율 18%보다 훨씬 높은 28%를 기록, 알짜 사업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실제로 오늘날 CNET을 부상시켜 놓은 것은 TV와 웹의 시너지 효과가 기여한 바가 크다. CNET이 1995년 4월 CNET 센트럴 ... ...
태양계 밖 행성 10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0009
14년간 외계행성을 탐사해 온 애리조나대 관측팀은, 현재의 장비들로 관측가능한 범위는
전체
우주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지만 태양계와 유사한 형태의 행성계를 발견할 날도 멀지 않다고 전망한다. 그래서 행성이 두개 이상 모여있는 행성계는 이번 IAU 총회에서도 큰 관심의 대상이 됐다. 애리조나대 ... ...
2. 극한 조건 실험 대행 핵폭발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009
START)이나 핵실험전면금지조약(CTBT) 등 핵무기감축과 핵실험의 전면금지 분위기가 지구촌
전체
에 확산됐다. 그러면서 실제 핵실험은 점점 더 어려워지게 됐다. 그러나 이로 인해 핵실험 연구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 이유는 핵실험의 장소를 실제 공간에서 슈퍼컴퓨터의 가상공간으로 옮겼기 ... ...
플라즈마응용표면처리 연구실
과학동아
l
200009
핵심은 코팅되는 물질만을 수십만도의 플라스마 상태로만 만들면 기존 도금 기술에서의
전체
온도보다 오히려 낮은 온도에서 코팅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이미 선진국에서는 활발히 연구돼 산업화 단계에 이르렀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응용초기 단계에 있다.한교수의 연구실에는 작은 기계부품의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재어 비교해보면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같은 날 밤, 달의
전체
모습을 다 담을 수 있는 보름날 밤에 지평선과 중천에서 각각 찍은 사진을 비교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몇일 간격으로 찍은 달 사진으로 비교해서는 안된다. 달은 지구 주위를 타원운동하면서 한달 동안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