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인
d라이브러리
"
일부인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2) 사운드카드
과학동아
l
199212
옥소리 사운드마스터 등 국산 사운드카드가 홍수를 이루고 홈컴퓨터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사운드카드는 갑자기 PC에서 필수적인 내장카드로 인식되고 있다.IBM PC는 뛰어난 기능을 가진 16비트 컴퓨터지만 사운드(sound) 기능은 기존의 8비트 애플 PC에도 미치지 못해 사용자들을 안타깝게 했다. IBM PC는 ... ...
규슈
과학동아
l
199212
비교적 고위도 지방임에도 불구하고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원숭이가 살고 있다는 것은 일본열도가 남쪽에서 북상해 왔으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규슈(九州)는 섬나라 일본에서 세번째로 큰 섬이다. 전체 면적은 4만4천3백79㎢로 일본 총면적의 약 11.4%를 차지한다. 일본열도의 4대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12
올해도 국내외의 과학기술계는 다사다난한 한해였다. 급변하는 국제정세만큼 과학기술도 눈부신 발달을 거듭하고 있다. 그 가운데 과학기술계 10대 뉴스는 어떤 것들인가.국내1. 우리별 1호 발사 성공지난 8월11일 우리나라는 작지만 의미있는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를 우주상공에 쏘아올렸다. 한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11
부지런한 농부처럼 바다 밑바닥 구석구석을 일구는 갯지렁이는 해양생태계의 환경미화원 노릇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바다 속의 생물로 물고기나 플랑크톤 같이 해수 중에 살고있는 것만 생각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다 밑바닥에 높은 밀도로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해저의 저서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11
광활한 국토를 가진 중국과 몽골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룡화석의 보고다. 20세기 전반에 중국 서부의 미개척지로 진출한 중국인들은 그곳 주민들이 공룡의 척추뼈를 기름등잔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격했다.1776년 거대한 턱뼈를 가진 '바다뱀'의 화석이 네덜란드 남부의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돼 큰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11
해양환경보호와 해양의 합리적 이용을 일반인에게 일깨워주기 위한 해양과학관이 국내에도 곧 건립될 예정이다. 이와관련 프랑스의 선진 해양기술과 미적감각 그리고 환경보존 의식이 한데 어우러진 노지카 해양과학박물관의 모든 것을 알아본다.해양은 인류의 마지막 자원 창고이며 지구의 또다 ... ...
486PC 바람이 분다
과학동아
l
199211
삼성전자 상운 유니트 등이 9월 들어 잇따라 1백만원대 486제품을 발표하고 있다. 386 시장이 미처 성숙하기도 전에 PC주력제품 486으로 넘어가는 것인가. 저가 486 PC가 국내 PC시장에 몰고 온 파장을 알아본다.지난 10월초 어느 중소 컴퓨터회사 회의실. 이 회사의 20대 후반, 30대 초반의 부서장급 5명이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11
최첨단 반도체인 64메가D램을 서로 먼저 개발했다고 공을 다투는 삼성과 현대. 그러나 이 제품은 국책과제로 이들과 전자통신연구소가 공동개발 한 것이다. 과연 64메가 개발로 한국은 메모리분야에서 일본을 추월한 것인가?지난 9월말 삼성전자와 현대전자가 '누가 먼저 64메가D램의 개발했는지'를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11
지구 생태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강한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오존층이 점점 엷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남극 상공 등 도처에서 불길한 관측결과가 나타나고 있다.최근 외신은 남극 상공에 오존구멍이 점점 넓어져간다는 소식을 숨가쁘게 전하고 있다. 지난 9월23일 미국 인공위성이 관측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11
이미 이학계 전체 학생수의 3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여성과학도들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해보면…이학계 대학에 다니고 있는 여성과학도의 숫자가 전체 이학계 대학생수의 30%를 웃돌고 있다. 약학과 과학교육과의 경우에는 절반이상이 여학생이고 생물관련학과에도 거의 반수를 여학생이 점하고 ... ...
이전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