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보지 못하고 일생을 마감하게 된다. ●박테리아 단백질이 식물 단백질 파괴 유도
학술
지 ‘플로스 생물학’ 4월호에는 파이토플라스마가 식물이 꽃을 만들지 못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분자차원에서 규명한 연구가 실렸다. 영국 존인네스센터의 연구자들은 모델식물인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나란히 배치돼 있다. - 네이처 제공 ●결국은 호모 에렉투스? 그런데 지난해
학술
지 ‘사이언스’ 10월 18일자에 놀라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흑해 동부연안에 위치한 작은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에서 발굴된 180만 년 전 두개골 화석을 분석한 논문으로, 그 결론을 한 마디로 말하면 호모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
KISTI
l
2014.04.10
그의 이 실험은 청량음료 산업의 시초인 탄산수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고 ‘영국왕립
학술
원’은 그의 공적을 인정해 1773년 그에게 코플리 메달을 수여했다. 프리스틀리를 불후의 과학자로 만들어준 것은 1774년의 연구 때문이었다. 그는 기체를 모을 때 사용되는 수은을 관찰하는 과정에서 다소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인정해 주었다는 점이었다. 보수성이 강한 영국 학계는 1785년 와트와 볼턴 두 사람을 영국
학술
원 회원으로 받아들였다. 와트는 버밍엄의 진보적 과학자들의 ‘달의 모임’의 핵심 멤버가 되었고 1806년 글래스고 대학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814년에는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외국인 준회원이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갖고 있는 천체가 네 개 존재한다고 알고 있었다. ●항성 엄폐 기술로 존재 발견
학술
지 ‘네이처’ 3일자에는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고리를 지닌 천체를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고리를 거느리고 있는 천체는 반지름이 불과 124km인 켄타우루스 소행성(Centaur) 커리클로(Chariklo)다.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현생인류의 ‘아프리카 단일 기원설’에 부합하는 결과였다. 이 연구는 1997년
학술
지 ‘셀’에 실렸다. 2000년 막스플랑크학회가 새로 만드는 진화인류학연구소에 스카웃된 패보는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해독하는 장대한 프로젝트를 구상한다. 미토콘드리아 게놈 해독과 핵 게놈 해독은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최근 망각이 기억형성만큼이나 능동적인 과정이라는 연구결과가 하나 둘 나오고 있다.
학술
지 ‘셀’ 최근호에는 망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스위스 바젤대의 연구자들은 모델동물인 예쁜꼬마선충을 대상으로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즉 무사시(MSI-1)이라는 단백질을 만들지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감각정보는 정서에 관여하는 뇌의 뒤쪽 섬피질(posterior insular cortex)로 연결된다.
학술
지 2월 19일자에는 CT의 또 다른 기능에 대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CT는 쾌감을 주는 촉각 정보뿐 아니라 쾌감을 주는 온도감각 정보에도 관여한다는 것. 아무리 사랑스러운 상대가 내 몸을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3.13
면역세포에 감염할 때 인식하는 표면단백질인 CCR5수용체가 없다는 게 밝혀졌다. 2009년
학술
지 ‘뉴잉글랜드의학저널’에 브라운의 사례가 발표되면서 현재 많은 과학자들이 유전자치료(CCR5 유전자를 파괴하는)로 HIV 완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을 쓴 홀트는 동물실험을 ... ...
[채널A] 日 ‘만능세포’ 조작 논란…‘일본판 황우석’ 사태로 번지나
채널A
l
2014.03.12
바뀝니다. 간단한 자극만으로 줄기세포를 만들어낸 이 연구는 지난 1월 세계적인 과학
학술
지 네이처’에 대서특필됐습니다. [인터뷰:오보가타 하루코,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원(1월 30일)] "논문 심사위원으로부터 지난 수백년 동안 연구해온 세포생물학 분야를 혁신적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