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3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키우는
나노
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폭이 500nm~1650nm 정도일 때 가장 잘 자랐다. 논문 1저자인 서울대 김장호 연구원은 “
나노
지지체를 사용하면 기존 환경에서 줄기세포를 키울 때보다 원하는 세포를 20~30% 더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다”며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만드는 성공률이 높아지는 만큼 부러진 앞으로 줄기세포를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새에서 나타나는 파란색 계열의 깃털은 깃털을 이루는 케라틴 단백질이 만드는 독특한
나노
구조에 짧은 파장의 빛이 산란돼 나타난 결과다. 왼쪽부터 암컷 넓적부리새류(silver-breasted broadbill), 수컷 유리새류(eastern bluebird), 수컷 장식새류(Plum-throated cotinga). 가운데 줄은 각각의 깃털 전자현미경 사진. ... ...
“여성과학기술자상은 없어져야 할 상”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조금이라도 온도가 내려가면 쉽게 깨져 상용화가 쉽지 않았다. 이에 손 박사는
나노
기술을 이용해 온도를 낮춰도 기존 세라믹의 장점을 유지하도록 해 연료전지의 성능이 나빠지지 않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 맘대로 되는 것 없었지만 포기는 금물 “2005년 처음 KIST에 와서 했던 연구는 ... ...
도넛이 스스로 만들어진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스스로 조립하는 속이 빈 마이크로 도넛 -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지름이 0.000002mm인 초소형 도넛이 스스로 만들어 ... 불가능해보였던 구조체를 합성할 수 있게 된 만큼 앞으로 더 다양하고 안정된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체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말했다 ... ...
파킨슨병 걸린 사람이 뇌종양도 걸리기 쉽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유전자가 뇌종양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
나노
연구센터 이규선 선임연구원과 미국 스탠포드의대 루 빙웨이 교수 공동연구팀은 파킨슨병의 원인 유전자가 뇌종양의 발현과 증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진은 초파리에서 ... ...
풍력 발전에 ‘상어 비늘’ 붙였더니 효율이 확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나노
입자를 물체 표면에 코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롤러를 이용해 풍력 발전기 날개에
나노
입자를 바른 뒤 자외선을 쬐어 굳히는 방식이다. 이 날개는 돌아갈 때 발생하는 소음이 줄고 발전기의 효율을 30% 넘게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아일보 DB 제공 과학자들은 이전에도 상어 비늘 ... ...
항생제 먹인 돼지고기 '꼼짝 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시료에 자성을 띄는
나노
입자를 넣어 항생제를 먼저 추출했다. 여기에 빛에 반응하는
나노
입자를 붙인 뒤 레이저 판독기로 읽어 항생제의 농도를 측정했다. 축산물이나 수산물에 많이 쓰이는 항생제를 0.05ppb(10억분의 1) 수준까지 검출할 수 있었다. 식약처는 이 방법이 기존 검사법보다 검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자유로운 사람은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의 지혜는 죽음이 아니라 삶의 숙고에 있다. - 바뤼흐 스피노자, ‘에티카’ 지난해 마지막 ... 훗날 거버는 한 한국 학생으로부터 “당시 로러의 강연에 감명을 받아 물리학과
나노
과학을 연구하게 됐다”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 ...
난치성 질환 원인 초음파로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둥근 영역)에 안정적으로 담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히알루론산
나노
버블은 상온에서 자연적으로 팽창되며, 이는 외부에서 조사된 초음파 자극에 의해 터지면서 강한 초음파 신호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김대식·장석복·서영준 교수 3人 한국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밀리미터 파장 영역의 빛이
나노
미터 구멍에 집속되는 현상을 발견해 ‘테라헤르츠-
나노
기술’ 분야를 선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장석복 교수는 팔라듐 촉매를 매개로 하는 촉매반응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서영준 교수는 항산화 및 항염증 기능을 지닌 물질의 발암억제 효능을 규명한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