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떠오르니? 아마도 PC방에서 즐겨하는 *MMORPG게임이 생각날 거야. 실감나는 화면 속 멋진 캐릭터들이 활약하곤 하지. 그런데 1988년에 유행하던 게임은 조금 달랐어. 캐릭터들은 대부분 3등신으로 귀여웠고, 방법도 매우 간단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었지. 그때의 우리는 오락을 하기 위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게 됐지요. 하지만 표준모형은 아직도 완벽한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어요. 힉스의 발견은 표준모형의 1차적인 완성이자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한 또 다른 숙제가 됐답니다. 일러스트 :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문제는 NP-완전이 아닐 거라고 추측했습니다. 룩스 교수의 기존 알고리듬이 지금까지 알려진 NP-완전의 그 어떤 문제보다 빠른 시간 안에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래프 동형 문제, P가 될 수 있을까?이번 바바이 교수의 증명이 맞다면 그래프 동형 문제는 생각보다 P에 매우 가까워지는 셈입니다. ...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말한다.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사이에 정보를 교류하는 사물인터넷이 확대되면 똑똑해진 사물 덕분에 우리 생활은 지금보다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웨어러블 컴퓨터★ 휴대하며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컴퓨터를 총칭한다.]조립하고 코딩해서 만든 나만의 사물인터넷!사물인터넷을 직접 만들어 볼 ... ...
- [News & Issue]“지켜보고 있다” 쓰레기 투기 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어떻게 처리하는지 관찰했다.관찰 결과, 일반 홍보물은 15.6%가 길에 버려진 반면, 눈 사진을 넣은 홍보물은 4.7%만 버려졌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넛지 효과(nudge effect)’로 설명했다. 다른 사람의 간접적인 개입이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뜻으로, 주변에 다른 사람이 있을 때 반사회적 ...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존의 가설이었다.연구팀은 호주의 ‘이상각 망원경’으로 지구로부터 8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에서 제1a형 초신성(SN2015F)의 폭발 장면을 포착했다. 섬광의 밝기를 분석한 결과 폭발한 백색왜성의 동반성이 태양보다 수백 배 큰 적색거성이 아니라 태양 크기와 비슷한 보통 별임이 밝혀졌다. 임 ...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표면 오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도만이 허용될 뿐이다. 사람의 화장과는 반대로 숨겨진 민낯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 광물의 화장법이라고 할 수 있다. 대개의 수집용 광물은 채굴된 상태에서 이런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리엠바스마크 형석은 뒤늦게 자신의 아름다움을 세상에 알리게 ... ...
- [과학뉴스]음악 검색 원리로 지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68개의 작은 지진들을 추가로 찾아내기도 했지요.클라라 윤 박사는 “FAST는 여러 가지 지진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점이다. 대표적인 준정다면체인 ‘깎은 정이십면체’는 오각형 12개와 육각형 20개로 이뤄진 3차원 입체도형으로 축구공과 비슷한 모양이다.이처럼 여러 수학자가 연구했던 정다면체에 대해 알아보고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을 이용해 다면체를 만들어보자.트럼프카드 조립하기트럼프카드로 ... ...
- [에디터 노트]새로운 인생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좀더 세련되고 잘 읽히는 과학동아를 제공하자는 것. 종이도 더 고급스러운 것을 썼고 사진과 일러스트도 좀더 신경 썼다. 활자도 다시 점검했다.내용도 혁신을 이어간다. 흥미롭고 유익한 과학 정보를 발굴해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상과 사회를 과학의 눈으로 보고 비판적으로 다시 생각하는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