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요인
까닭
근거
동기
이유
기원
d라이브러리
"
원인
"(으)로 총 4,38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공룡 포유류 등을 거쳐 인류가 등장하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표출된다. 그 중에서도
원인
류의 모습이 사람의 얼굴로 바뀌는 과정은 단연 압권. 두개의 소형극장이 하나로자연생명관의 메인쇼는 두개의 영화를 나누어 보다가 어느 순간 객석이 1백80도 회전하면서 하나의 화면으로 합쳐지는 70mm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찾는다면 밀물과 썰물이 있는데 이는 지구 자체의 자전운동에너지와 달의 움직임이
원인
이다.태양이 발산하는 에너지는 수소폭탄에서 나오는 에너지와 같다. 즉 원자력 발전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우라늄 원자핵이 분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라면 태양에너지는 수소원자가 융합하는데서 ... ...
모두를 위한 남극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거꾸로 뒤집혀진 것이다. 에메랄드색은 푸른빙산을 통해서 보이는 노란 바닷말이 그
원인
이다.지구상에서 다섯번째로 큰 대륙인 남극은 다른 대륙보다 고도가 세배나 높기도 하다. 남극의 빙산은 지구 담수(潭水)의 70%를 가지고 있으며 그 대기는 사막처럼 건조하다.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남극은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지금은 이란의 북부와 아프카니스탄의 북부에 5-10두 정도가 남아 있을 뿐이다. 감소
원인
은 주산지인 옛소련에서 대규모의 개간이 진행됐기 때문이다. 크기는 시베리아호랑이에 버금가고 생김새는 벵갈호랑이를 닮았다.한국호랑이는 시베리아호랑이에 속해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 동북부와 ... ...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으나 일본에서의 예를 제외하고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사례는 없다. 그러나 산성비의
원인
물질이 아황산가스 등이므로 이들 오염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과 산성비에 의해 물 또는 토양에 녹아 들어갈 수 있는 유해중금속이 장기간에 걸쳐서 먹이사슬을 통해 농작물 물고기 등에 축적됨으로써 ... ...
2. 의료계의 혁명 수혈기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발전이후로도 수혈에 대한 시도는 간간이 있어 왔으나 거의가 실패로 끝났다. 주된
원인
은 채혈된 피가 환자에게 주입되기 전에 응고되어 버렸기 때문. 그러다가 1869년 피를 굳지 않게 하는 항응고제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이 개발되었다. 1900년 ABO식 혈액형이 발견된 데 이어 다른 계통의 ... ...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비교적 양호한 커트를 인화해 분석해 봤다. 역시 노출이 과다하거나 부족한 게 주요
원인
이었다. 그러나 이때 한 가지 중요한 것을 깨달았다. 위치선정이 잘못된 것을 안 것이다."이틀 후인 4월 5일 2차 비행을 시도했습니다. 무전기를 동원했죠. 즉 촬영장소에 사람을 내보내 모형비행기가 그쪽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급성편도선염 성홍열 전염성피부염 외상을 들 수 있다. 또 감기에서 오는 일도 있으며
원인
불명인 경우도 적지않다. 발병하면 열이 오르고 신장에 통증이 오며 피오줌을 누게된다. 대개는 몇주일 지나면 낫지만, 어린애의 경우 낫기가 힘들고 또 만성으로 되기도 한다.■ 신석증신장에 돌이 생기는 ... ...
슈퍼컴퓨터로 초대륙 판게아의 해체 모습 재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밀어내는데, 바로 이것이 고온 맨틀물질의 용승류(湧昇流)를 일으켜 열점(熱点)을 만드는
원인
이 된다. 또한 이는 대륙을 안쪽(초대륙의 뒷쪽)에서 바깥쪽(바다 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담당한 듯하다. 시뮬레이션에서 나타난 열점이 대략 현재의 그것들과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 ...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신소재 콘크리트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보통 50년. 그러나 최근에는 20-30년만에 갈라지거나 벗겨지는 경우도 많은데, 이중 큰
원인
이 바로 수산화칼슘의 중화반응이다.연구진은 몇년 전부터 철강 대신 콘크리트 골조로 새로이 주목받는 탄소나 아라미드섬유 등의 신소재를 사용할 경우를 상정, 높은 효율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