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 공군, 우주왕복선 대체용 우주항공기 개발 추진과학동아 l2010년 05호
-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수 있다. 가시광선을 비롯해 눈에 보이지 않는 온갖 전자기파로 찍은 최신 사진은 별과 우주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프랑스 천체물리학자인 저자들은 독자가 보고 있는 게 무엇인지 쉽고 자세하게 설명했다.네트로피한지훈 지음 | 은행나무 | 280쪽 | 1만 2000원네트로피란 ... ...
- 로봇은 살아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표현한 거란다. 네 번째 방 삼각 기둥이 만드는 미래이 곳엔 머지않아 인간들이 살게 될 우주 기지와, 그 때 사용할 양자 컴퓨터 프로그램이 블록 쌓기 모형과 그림으로 표현돼 있어. 삼각기둥모양의 조각이 만드는 다양한 구조물을 볼 수 있단다. 다섯 번째 방 만화 + 영화 = 로봇자, 이번엔 내가 ... ...
- 무한을 향한 도전수학동아 l2010년 04호
- 관측기술이 발달하면서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 같은 외부 은하가 무수히 있다는 우주관이 받아들여졌다.한편 갈릴레이는 ‘수학적 담화와 증명’이라는 책에 무한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자연수와 제곱수 사이의 개수를 비교했다. 자연수 1을 제곱하면 1, 자연수 2를 제곱하면 4, 자연수 3을 ...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하늘을 나는 꿈을 꾼 적 없나요? 슈퍼맨처럼 빨간 망토를 걸치거나 빗자루를 타고 슝~하고 파란 하늘을 가로지르는 신나는 꿈 말이 ... 비행하는 상상 속의 우주선(오른쪽)처럼, 미래에는 반중력을 이용해 하늘이나 우주를 나는 우주선이 탄생할지도 모른다 ... ...
-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태어난답니다. 반짝반짝 아기별들의 보금자리로 여행을 떠나 볼까요? 나사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적외선 컬러 사진이에요. 천문학자들은 이 먼지구름을 ‘로 오피유키(Rho Ophiuchi)’라고 불러요. 로 오피유키는 뱀주인자리 성운 끝자락에 있는데, 먼지 구름들 중 우리 태양계에 비교적 ... ...
- 영원한 찰떡궁합 수학과 과학수학동아 l2010년 04호
- 흔히 말한다. 수학은 과학의 기본이라고. 사람들은 또 흔히 말한다. 우주로 날아가는 로켓, 현대 문명의 필수품 컴퓨터와 같은 첨단 과학기술의 바탕이 바로 수학이라고.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 온 이야기지만 가만히 생각해 보면 왜 수학이 과학의 기본인지, 수학과 과학이 구체적으로 어떤 ...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디지털하늘탐사(digitized sky survey)가 제공하는,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우주사진을 보여준다. 한편 천문노트 공동운영자인 이형철 씨는 “실제 천체 관측은 대기상태나 지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며 “스마트폰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관측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 ...
- 화석대소동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전 화성에 운석이 떨어졌을 때 우주로 날아갔다고 설명했어요. 그 후 이 돌은 3000년 동안 우주를 비행한 끝에 지금부터 1만 3000년 전 지구의 남극에 떨어졌지요.실제로 매케이 박사팀은 운석을 확대한 사진에서 크기가 100㎚보다 작은 미화석 비슷한 흔적을 확인했어요. 또 생명의 흔적으로 볼 수도 ...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높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기 어려웠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학이 우주의 원리를 연구하는 심오한 학문에 비해 수준이 낮다고 여겼다.수학이 자연을 설명하는 언어로 뛰어오른 것은 17~18세기의 과학 혁명기였다.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과학자인 갈릴레이는 “자연이라는 책은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