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표준연은 이터븀 광격자 시계의 불확도를 10-17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롯데월드타워에서 시간차를 측정하기에는 충분한 성능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관건은 이 불확도를 유지하면서 작은 트레일러 안에 광격자 시계를 넣을 수 있는지 여부”라며 “지금 진행하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6~7년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김민석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와 신현영 연구원은 같은 직장 선후배 사이였다. 이들은 2014~2015년 삼성전자 종 ... 지금 돌아보니 오히려 다양한 경험이 지금의 연구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양한 경험을 해 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고등학교에서 자신의 진로를 위해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중요한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 ‘신과람(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 회원으로 활동하 ... 재능을 나누는 멋진 경험을, 행사에 참여하는 다른 학생들은 과학을 체험하는 즐거운 시간을 만들 수 있어 일석이조입니다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성적이 상승될 가능성이 높다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비교과 또한 마찬가지다. 봉사 시간과 독서 목록의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어떤 마음가짐으로 봉사를 했고, 무엇을 느꼈는지, 독서를 하게 된 이유와 읽고 난 뒤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종합적이고 맥락에 맞춰 판단한다. 그리고 이 ... ...
- 통계로 예측하는 쩐의 전쟁, 이적 시장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두 번 밖에 못하기 때문에 이적 시장 마지막 날까지 원하는 선수를 보강하지 못한 팀은 시간에 쫓겨 말도 안 되는 가격에 선수를 영입하기도 합니다. 심지어 이 대신 잇몸이라고 원래 계획에 없던 선수까지 무턱대고 데리고 오기도 하지요. 이를 ‘패닉 바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패닉에 빠져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들었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뉴럴 레이스를 완성하기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요. 한양대학교 생체공학과 임창환 교수는 “인류가 처음 달 착륙을 목표로 잡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새 기술이 탄생했다”며, “마찬가지로 뉴럴 레이스 개발은 오래 걸리겠지만 그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털 어떻게 생길까?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중학교 생물시간에 배운 ‘멘델의 유전법칙’을 기억할 겁니다. 멘델은 녹색과 황색 완두콩을 서로 교배시키면 1대에는 모두 황색 콩만 생기고, 이것들끼리 다시 교배시키면 2대에는 황색 콩과 녹색 콩이 3대 1의 비율로 나타난다는 것을 실험으로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초당 펄스 수가 2만7000번으로 세포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 과정을 마치 동영상처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동역학 연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일본과 포항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초당 펄스 수가 60번,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운용하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LCLS)는 120번 수준이다. 에벨링 팀장은 “E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양이다. 한 번 우주선 발사에 200억~300억 원의 비용이 든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불가능한 시나리오다. 무엇보다 현재 가용중인 우주왕복선도 없다. 김해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IT융합기술팀장은 “ISS가 고장 나기 전에 지구 대기권으로 본격 진입하는 시점과 장소를 미리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발표했습니다.doi:10.1038/nn1525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ms(밀리초·1ms는 1000분의 1초)의 짧은 시간 단위로 뉴런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이 논문은 약 10년간 무려 2799번이나 인용될 만큼 신경과학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고, 이 논문으로 칼 다이서로스 교수는 ‘광유전학의 창시자’로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