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항바이러스제를 잘 먹어도 정액에서 HIV가 발견되므로, 성관계 시 콘돔을 사용하는 편이 훨씬 안전하다”고 말했다. 치료약 미리 먹어 HIV 감염 예방최근에는 HIV 치료약이 ‘예방약’의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HIV에 감염되지 않은 고위험군에게 감염 예방을 목적으로 HIV 치료제를 처방하는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치솟으면 대한민국 전체가 정전되는 블랙아웃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가정 내의 에어컨 사용이 대규모 비상사태를 초래하지 않도록 ‘더불어에어컨’ 공익사업에 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이 사업에 신청하면 한전에서 여러분 집을 방문해 에어컨에 원격 조종 장치를 무료로 설치해 준다.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매번 갈아줘야 하는 물통을 주전자처럼 만들되, 완전히 분리되게 만들어 늘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습기를 만들었다. 그 결과 가습기에 물을 채우기도 편했고, 청결 문제도 보완할 수 있었다. 현재 우 대표는 식당 테이블에 붙어있는 진동벨처럼 테이블에 붙어 있는 리슨 2세대를 계획 중이다. ...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풀어 놓고, 황과 철을 먹이로 주어 순수한 금속을 얻는 거예요.이 기술은 유해한 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아요. 하지만 미생물이 자라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휴대전화에서 금을 찾아라! 도시광산Part 1. 수명이 다한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늑대는 가족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사회적 동물인데, 당시 연구에 사용됐던 늑대들은 서로 사회적 관계가 없는 늑대들이었다. 사람의 사회적 특성을 연구하겠다고, 서로 관련도 없는 사람들을 좁은 곳에 가두고 한정된 자원을 준 상태에서 관찰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반려견과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모여 사는 번식지에서 배우자를 확인하거나 새끼를 찾을 때 우리가 다양한 음성신호를 사용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대. 그런데 물속에서도 소리로 의사소통 한다는 건 이제야 알았나 봐. 남빙양에 크릴이 많다곤 하지만 넓은 바다에서 그 조그맣고 맛있는 녀석들을 찾는 건 맛집에서 퍼져 나오는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제맥주를 직접 만드는 사람이 많은데, 품질좋은 맥주 보리를 환경에 맞게 키워서만 사용해도 기존에는 없던 색다른 맛을 창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산 맥주보리는 백호보리 외에도 호품, 광맥, 다이안, 이맥, 흑호 등 다양하다. 이중 광맥보리는 추위에 강하다. 맥주보리는 보통 추위에 약해서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규칙과 재미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학자들이 여전히 고민하는 문제예요. 현재 사용하는 다트 보드는 부채꼴 모양의 20개 영역에 1~20점까지 점수가 있어요. 가장 높은 20점을 12시 방향에 놓고, 점수가 높은 영역 주변에 낮은 점수를 배치해 높은 점수를 겨냥했다 실패하면 낮은 점수를 얻도록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선분 한 개를 그릴 때 더 신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격자 모양이 달라도 속임수 전략을 사용하거나 상자 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도트 앤 박스와 원리가 같은 ‘끈과 동전’ 게임이 있어요. 격자에서 만들 수 있는 상자 수만큼 동전을 사각형 격자 모양으로 늘어놓고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불길이 빠르게 번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번에 산림청에서는 예측 프로그램을 사용해,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람들이 많이 사는 시내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상황실에서는 산불이 주민들에게까지 번지지 않도록 인력과 장비를 거주지 주위에 집중적으로 배치했답니다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