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보안패치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을 꺼 놓아
문제
가 커졌습니다.500종 변종 공격?보안업계에 따르면 5월 19일 현재 워너크라이의 신·변종은 500종이나 됩니다. 본격적으로 확산된 지 일주일 만입니다. 그중에는 확산을 중단하는 킬 스위치(27쪽 참조)를 우회하는 변종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유엔 안보리)의 정전 결의안을 수락해 6일 만에 전쟁이 끝났다. 이 전쟁은 시기가
문제
였지 언젠가는 반드시 벌어질 전쟁이었다. 그렇다면 이스라엘은 왜 하필 6월에 아랍 연맹을 기습 공격했을까.가장 큰 기후적 요소는 함신(Khamsin, 캄신)이라고 부르는 바람이다. 함신은 이집트 사막지방에서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여성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성염색체입니다. 남성은 XY, 여성은 XX를 갖고 있는데요. 여기서
문제
가 하나 있습니다. 여성이 남성보다 X염색체를 하나 더 갖고 있기 때문에, X염색체에 있는 유전자가 여성에게서 두 배로 발현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남성과 여성의 X염색체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법은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날개(노란색)에 생기는 와류(초록)를 나타낸 컴퓨터 그래픽. 벌레의 능력 3높은 곳도
문제
없어!▶중요 기술 다리를 활처럼 구부리기 벼룩은 무려 자기 몸길이의 100배 이상 뛸 수 있어요. 150cm인 사람으로 치면 한 번 점프해서 커다란 빌딩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는 셈이지요. 벼룩이 이렇게 놀라운 ...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전세계 인구 중 2/3는 ‘물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지요. 물이 부족해 여러 가지
문제
가 발생할 수 있다는 거예요.인구도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2016년 기준 세계 인구는 73억 명인데, 2050년까지 90억 명에 다 다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요. 이렇게 인구가 늘어나면 그만큼 필요한 물의 양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사잇각이 같은 직선 찾기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램지정리(수학동아 2017년 1월호 ‘따끈따끈한 수학’ 참고)를 이용해 답을 구했습니다.이
문제
에도 아직 수학자가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당장 14차원에서 답이 무엇인지 아직도 모릅니다. 과연 14차원에서 최댓값은 29일까요? 각이 고정된 경우에 1.93n보다 더 작게 할 수 있을까요? ...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것처럼 훈련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기반 훈련은 안전할 뿐더러 시공간의 제약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투태세 수학으로 완전무장!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Part 4. 전투의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수 있으면서도 안전해야 하는데, 도로를 달리는 것과 달리 하늘은 위험요소가 더 많고
문제
가 생기면 추락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어 인명과 재산피해가 크다. 게다가 자동차로 쓸 때는 날개 같은 비행용 부품이 필요 없기 때문에 무게가 늘어나 쓸데없이 많은 연료가 소모된다. 일반 항공기나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생명체를 이루는 분자가 어떻게 살아남는지 항상 궁금했어요. 특별히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
를 연구하려고 찾아 보다가 면역 연구를 시작하게 됐습니다.”보이틀러 교수는 1980년대 뉴욕 록펠러대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때를 회상했다. 쥐 연구를 통해 종양괴사인자(TNF)가 면역에 영향을 준다는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협력해 안전 기준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말했다.상업화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
도 있다. 복합소재로 활용하려면 나노셀룰로오스와 플라스틱을 섞어야 한다. 그런데 나노셀룰로오스는 물과 잘 결합하는 특성을 지닌 반면, 복합소재에 많이 쓰는 플라스틱 수지는 물과 결합하지 않는다.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