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제"(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사잇각이 같은 직선 찾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램지정리(수학동아 2017년 1월호 ‘따끈따끈한 수학’ 참고)를 이용해 답을 구했습니다.이 문제에도 아직 수학자가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당장 14차원에서 답이 무엇인지 아직도 모릅니다. 과연 14차원에서 최댓값은 29일까요? 각이 고정된 경우에 1.93n보다 더 작게 할 수 있을까요?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있지만 어떤 경우 감으로 찍어서 맞히기도 하거든요. 개념을 확실히 모르면 같은 유형의 문제라도 틀릴 수가 있기 때문에 개념을 제대로 알고 풀었는지 따져봐야 하지요.후회하는 일 없도록 하고 싶은 걸 하세요!수학을 전공한다고 하면 어떤 사람은 제가 천재인 줄 알아요. 그런데 전혀 아니거든요. ... ...
- 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끌어다 쓴 국가 예산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은 전후 배상금 문제와 경기 활성화를 위해 화폐를 통제하지 않고 발행했다. 이는 초인플레이션으로 이어져 1924년에는 100,000,000,000,000마르크화를 발행했다. 벽지보다 지폐가 싸서 지폐로 벽지를 바를 정도라는 소리가 나왔을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같은 명나방과로 애벌레가 비닐로 포장된 제품의 겉면을 갉아먹고 내부로 들어가 문제가 되기도 한다. 곡류를 먹고 자라는 화랑곡나방 애벌레와 성충은 쌀벌레로 불리기도 하며, 우리나라 가정집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갈색거저리는 밀웜이라고도 한다. 반려동물의 먹이나 차세대 곤충 식량의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설명했다.변영돈 대한최면의학회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도 “최면학은 심리적 문제를 다루는 정신의학의 한 분과로 무의식을 살피는 과학”이라며 “다만 ‘전생 요법’처럼 최면을 비과학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회의감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최면, 뇌는 알까?오랫동안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세상에 불멸자라는 게 무슨 의미가….”마크가 노마의 말을 끊었다.“바로 그 허가가 문제예요. 아저씨도 입자 프린터로 육체를 갱신해봤다면 잘 알고 있겠죠. 은하계에 존재하는 입자의 수는 유한해요. 입자는 곧 정보이고, 따라서 정보량으로 치환한 은하계의 물질량 역시 유한하죠. 그래서 입자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개발하기도 했어요. 열을 잘 가두는 고무의 성질 때문에 고무 로봇이 과열되기 쉽다는 문제를 해결한 거죠. 앞으로 곤충 로봇을 비롯해 많은 로봇에 사용될 수 있을 거예요.오래, 더 오래!로봇이 움직이기 위해선 전기에너지가 필요해요. 현재 대부분의 로봇들은 배터리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고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를 이용해 우주선 궤도를 계산하고 착륙 좌표를 알아낸 것이지요.캐서린이 수학 문제를 해결할 때마다 나오는 짐머의 음악은 극적인 장면을 더 극적으로 만듭니다. 짐머의 음악이 주인공 캐서린을 돋보이게 하면서요. 히든 피겨스뿐 아니라 짐머가 참여한 영화는 늘 그렇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 ...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것처럼 훈련을 할 수 있다. 가상현실 기반 훈련은 안전할 뿐더러 시공간의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투태세 수학으로 완전무장!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Part 4. 전투의 ... ...
- [과학뉴스] 국산 기술로 초미세먼지 구성성분 알아낸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석하는 기술 등 장비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를 5년에 걸쳐 개발했다.최근 심각한 환경문제로 떠오른 초미세먼지를 제거하려면 발생원과 생성원리를 정확히 아는 게 먼저다. 그러려면 초미세먼지의 구성성분을 파악해야 하는데, 지금까지 한국은 관련 분석장비를 전량 수입했다. 대당 5억~6억 원으로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