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세상 끈질긴 생물막,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생존에 필수적인 장비에 생물막이 생기면 심각한 일이 벌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작년 하반기,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국제 연구팀은 ISS에서 생물막이 어떻게 자라는지 알아보기 위한 ‘스페이스 바이오필름 미션’을 시작했어요. 연구를 주도한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볼더캠퍼스 루이스 제아 교수는 ... ...
- [쇼킹사이언스] 눈에서 이빨이 난다고? 고래상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발견되며,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살죠. 평균 몸길이는 10m 정도이며, 2001년에는 아라비아해에서 무려 19m에 달하는 고래상어가 발견되기도 했답니다. 고래처럼 몸집이 큰 상어라서 ‘고래상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매우 온순한 성격의 반전 매력을 자랑하죠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있어요. 그런데, 대벌레는 정말 나무에게 위험한 곤충일까요? 정종국 박사는 “앞으로 2~3년 동안 지금처럼 대벌레가 많이 발생한다면 어떤 상황이 될 지 모르지만, 아직까지 대벌레가 갉아먹어 죽은 나무는 없었다”고 말했어요. 대벌레는 많이 먹지 않아요. 2012년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대벌레가 ... ...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호랑이? 상어? 정답은 바로 ‘모기’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모기는 매년 약 72만 5000명의 목숨을 빼앗아요. 인간을 제외한 위험한 동물 2위인 뱀의 피해자 수(약 5만 명)보다 14.5배나 많은 수치죠.모기가 위협적인 이유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옮기기 때문이에요. 모기는 피를 빨면서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더 많이 학습했다면, 알고리즘은 흑인보다 백인의 얼굴을 더 잘 인식할 거예요. 2019년 12월 미국 표준기술연구소에서 얼굴인식 알고리즘 189개를 분석해 보니, 실제로 유색인종의 얼굴을 인식할 때 오류가 날 확률이 백인보다 100배나 높았지요.그뿐만 아니에요. 얼굴인식 알고리즘에 쓰이는 범죄자 ...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정자가 장어처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생각했어요. 왜냐하면 1677년 네덜란드 과학자 레벤후크가 정자를 처음 현미경으로 관찰하곤 “꼬리를 흔들어 물속의 장어처럼 헤엄친다”고 표현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최근 정자 움직임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정자를 ... ...
- [가상인터뷰] 바이킹이 천연두를 전 세계에 퍼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무시무시하지?다행히 1798년에 백신이 개발되어 예방 접종을 할 수 있게 되었고, 1979년이 되어서야 세계보건기구가 완전히 박멸되었다고 선언했지. 바이킹족은 천연두 때문에 사라졌나요? 연구팀은 이번에 연구된 바이킹족이 천연두 바이러스 때문에 죽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했어. 분석 결과, 2 ... ...
- [BOOK소리] 만화가와 편집자가 고른 수다의 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잘 모르는데 어떻게 양자역학을 알려주지?’ 무모한 도전처럼 여겨지던 이 만화는 2015년 인기리에 막을 내렸어요. 책 출간을 기념하며 당시 담당 기자였던 김정 편집장과 홍승우 작가님이 수다를 나눴어요. 함께 책을 들고 만화 컷컷을 들여다보며 긴 수다에 빠졌죠. 만화가와 편집자가 고른 ... ...
- [기획] 대벌레! 왜 이렇게 많은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대벌레는 사람의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깊은 숲속에 주로 삽니다. 그런데, 올해 왜 이렇게 많은 대벌레가 모습을 드러낸 걸까요? 거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운이 조금 좋았다고나 ... 용어정리* 평년기온 : 일기 예보가 나가는 시점으로부터 측정하는 지난 30년간의 평균기온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발견된 입자들이 기본입자가 아니며 더 작은 기본입자들로 이뤄져 있다는 가설을 1964년에 독립적으로 냈어요. 그리고는 그 기본입자에 각각 ‘쿼크’와 ‘에이스’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이후 ‘쿼크’가 더 많이 사용돼 공식 용어가 되었답니다. 쿼크의 존재, 실험으로 증명되다쿼크는 언제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