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유전자가 여러
기능
을 수행하기도 한다(다양성). 만일 한가지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그
기능
을 다른 유전자들이 떠맡게 된다. 생명체는 자연의 '보이지 않는 손'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질병들에 관련된 유전자들이 여러가지라는 사실은 놀랄 일이 아니며, 이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간게놈프로젝트와 별도로 연 1조원 이상을 서슴없이 투자하면서 10만개 유전자의
기능
을 밝히고 있으며, 실제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국내에서 내년부터 투자하는 1백억원과 상당한 차이가 나는 액수다. 과연 이런 규모로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게놈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을까 ... ...
④ 마이크로 프런티어가 해결한 의료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7년생체에너지 ATP를 동력원으로 하는 치료용 마이크로머신이 개발된다.● 2018년◎특별한
기능
이 첨가된 단백질이 개발된다.◎기억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는지 해명된다.● 2024년◎인간처럼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는 인공지능 칩이 개발된다.◎이 밖에도 1백 기가비트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 등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라는 것이 들어있다. 이런 마이컴
기능
에 두뇌역할을 하는 것이 마이크로프로세서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기억부(RAM과 ROM), 그리고 입출력 제어부의 IC를 조합한 시스템으로 구성돼 있다.근래에는 손톱만한 크기의 칩에 그래픽,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세계적으로 10억에 달하는 사람에 기생하고 있는 회충은 사람에 비해 산소에 대한 친화도가 2만5천배나 높은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다. ... 산화질소를 이용해 산소를 분해시킨다는 것이다. 최근에 헤모글로빈의 다양한
기능
들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효소활성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작을수록 강해지는 나노물질 합성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예를 들어 초미니반도체를 만들 때 현재 반도체의 크기만 무작정 줄인다고 해서 같은
기능
을 발휘하리라고 기대하기 어렵다는 말이다.그렇다면 극미의 세계에서 물질이 어떤 성질을 가지는지 연구하는게 급선무다. 대표적인 사례가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바늘로 알려진 탄소나노튜브다.쓸만한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리
기능
을 만들어내는 유전자 조각은 특허 대상이 안된다. 예를 들어 간이나 위의
기능
을 정상적으로 조절하는 ‘평범한’ 유전자 조각은 특허 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의미다.지난달 말 일본에서 특허가 신청된 유전자 6천여개의 경우 어떤 유전자 조각이 포함돼 있는지 현재로서는 알 수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막히면 격렬한 통증을 유발하는 협심증이 발생한다. 만일 관상동맥 부위의 PDE
기능
을 떨어뜨리는 물질을 찾으면 관상동맥이 확장될 수 있다. 이런 생각으로 개발된 약물이 바로 실데나필이었다.남은 문제는 실데나필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를 보이는지, 그리고 부작용은 없는지 검사하는 일이었다.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난치병들의 주요 원인은 바로 단백질이 특정 부위로 이동하는
기능
에 이상이 생긴 탓이라고 한다. 따라서 블로벨 박사의 연구 내용은 이런 질병들의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마지막으로 블로벨 박사의 신호 가설은 사람 유전자지도의 ... ...
유전자 조작으로 빨리 늙는 쥐 생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생산해낼 수 있었다는 점이다. 특정한 유전자가 없는 동물을 관찰하는 일은 그 유전자의
기능
을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는 방법인 것이다. 때문에 다른 유전자는 모두 정상이고 목표로 한 유전자만 없앤 모델 동물을 갖는 것은 모든 분자생물학자의 꿈이다. 이 교수의 성공이 알려지자 많은 학자들이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