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05
형태의 스케치판을 함께 준비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스케치에 필요한 모든 준비가
끝
났으면 망원경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관측 및 기록을 한다. 달의 관측에 있어서는 그림자의 길이와 어둡고 밝은 정도 등을 모두 생각하며 자세히 관측한다. 크레이터를 이루고 있는 여러 구조, 주름잡힌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05
모른다. 사람은 크기를 각으로 인식한다1분보다 작으면 모두 점한 물체의
끝
과
끝
으로부터 나오는 빛과 우리 눈이 이루는 각이 그 물체의 크기각이다. 이 각의 크기를 가지고 우리는 물체의 크고 작음을 판단하게 된다.이 크기각은 물체의 고유 길이와 눈으로부터의 거리에 각각 비례해서 커지고 ... ...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305
럿거스 대학의 기술자인 버디는 최근 감지장갑을 더 개선하였다. 그는 장갑의 손가락
끝
부분에 눌러지는 강판을 붙임으로써 사용자가 물체를 조작할 때 그 느낌을 더 잘 받도록 하였다.지구상 어디에서든지 유독폐기물과 같이 위험한 물질을 안전하게 다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도구를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05
대한 탐구와 도전이 계속되는 한 마이크로 머신의 미래는 밝다고 말 할 수 있다.
끝
으로 미국과학재단이 최근 발표한 마이크로 머신에 대한 연구결과보고서의 제목을 인용한다.'작은 기계, 큰 기회'(Small Machines, Large Opportunities)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05
필 때는 와삭와삭 소리가 날 정도다. 꽃잎 한 장의 지름이 30㎝, 몸통과 반대편 꽃잎
끝
까지의 지름은 90㎝가 넘는다. 무게는 9kg이나 된다. 개화 후 썩으며 악취 풍겨보르네오섬을 제외한 타지역에 자라는 10종의 라플레시아 중에서 이 지방의 것이 제일 크다. '식물 최대의 경이(驚異)'라고 불리는 이 ... ...
「헌팅톤 무도병」 유전자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199305
유전자의 비밀 일부가 미국과 영국 과학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10여년에 걸친 연구
끝
에 얻은 이번 발견은 성인들의 심신이상을 유발하는 신경성 퇴화와 잠행성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헌팅톤 무도병(舞蹈病)이란 뇌 깊숙한 곳에 들어있는 한짝의 신경다발인 대뇌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05
결합시켜 빛과 색으로 변하는 중합체로 만드는 작용을 일으킨다. 이어 레이저광이 탐침
끝
부분에서 형광성을 발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형광되는 색깔이나 그 세기는 주변의 pH 에 따른다.실험 현장에서는 현미경을 통해 보이는 세포에 이 센서를 밀어넣어 빛의 색깔과 세기 등을 ... ...
'지워진 데이터' 되살리려면
과학동아
l
199305
번 클러스터 위치에는 6이라는 숫자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6번 클러스터 위치에는 파일의
끝
이라는 것을 알리는 16진수값 'FFF'가 저장된다. 마치 방학 전날 비상연락망을 구축하듯 디스크 상에 파일도 이렇게 체인 방식으로 되어 있다.가끔 디스크 상의 파일이 제대로 저장됐는지를 보기 위해 도스의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05
받고 연구결과를 넘긴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인슐린 합성은 사실 선진각국은 이미 다
끝
낸 프로젝트입니다. 그러나 처음 시작하는 우리로서는 '모방' 단계부터 시작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고생스러웠던 점은 미국이나 덴마크에서 수백명의 박사들이 머리를 맞대고 연구한 이 프로젝트를 우리는 3~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05
김성만 회장(47)은 김종식 철원지회장과 함께 이 새를 10여일간의 잠복
끝
에 6백㎜ 망원렌즈 카메라에 담을 수 있었다고 한다.호사비오리는 백두산의 텃새로 조선조 말기까지만 해도 북한강 등에 10여마리씩 나타나는 겨울 철새였으나, 그 뒤 모습을 감춰 백두산 천지와 마양저수지 등에만 1백마리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