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4,153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09
지형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노출시간이, 일주운동을 가이드(guide)할 필요가 있을 정도로
길
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장비의 측면에서 좀 더 높은 성능이 필요하다. 촬영에 관해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겠지만 반달의 경우 보름달 광량의 2분의 1이 아니고 4분의 1이며 초승달은 10분의 1정도가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09
수직으로 솟은 마천루의 숲은 사람들에게 첨단기계문명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화려한 도시경관을 보여주지만, 그에 따르는 교통 환경 주거 등의 문제도 만만치 ... 이외의 스케일(extra humans scale)의 쌍벽인 자동차와 마천루를 '사람의 환경'으로 어떻게
길
들일 수 있을지가 우리의 큰 과제다 ... ...
6. 근거리 통신망(LAN)의 비약적 발전
과학동아
l
199109
반영하여 디베이스라는 프로그램이 나타나서 개인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길
을 터주었다. 디베이스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되었다.혼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깨닫게 되었다. 정보를 수집축적해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09
거주하지만 나중에는 주야가 바뀌는 1개월 이상을 실험한다. 기지는 주로 지름 4~5m
길
이 15m 정도의 원통형 거주동과 실험동 식물동을 갖추게 된다. 각 건물은 방사선과 열을 차폐하기 위해 달의 토양을 뒤집어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동은 자체 농사를 짓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실험용. 모든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09
일로에 있고 이용할 수 있는 땅의 넓이는 제한되어 있다. 앞으로 세계인이 살 수 있는
길
은 더 높이, 또는 더 깊게 건물을 건설하는 것이다. 그 옛날 바벨탑 건설은 완성을 보지 못하고 중단되었으나 그 의지와 욕구는 면면히 이어 내려와 바벨탑 시대의 인간들이 하늘이라고 믿었을 구름 위에 까지 ... ...
기온변화가 세계사를 뒤바꾼다
과학동아
l
199109
속에 식수(食水)를 넣어두고 음료수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그들은 매일 열사(熱砂)의
길
을 오가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집트의 파라오도 기후변화에는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나일계곡에서 조금만 밖으로 나가면 아무도 살 수 없는 사막이 펼쳐져 있을 뿐이었다. 지하수면까지 도달하기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09
날에 제 집을 찾아오게 하면 과연 어떻게 될까?①비둘기는 태양의 방향을 실마리로 삼아
길
을 찾기 때문에 흐린 날에도 태양의 위치를 자외선으로 감지, 정확하게 집으로 돌아온다.②비둘기는 눈 뒤에 있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조진을 활용, 지구의 자기장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자석을 달아 놓으면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09
단열팽창이 됐기 때문에 정상부의 온도보다 더 떨어졌다는 것 말고는 설명할
길
이 없습니다.구기덕 반대의 경우로 제련소를 생각해보세요. 만약에 꼭대기서부터 아래로까지 관이 죽 연결되어 있다면 뜨거운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원리에 따라 아래쪽의 공기가 위로 빨려 올라가야 합니다.사회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09
불가능한 것을 알고 시간 간격에 구애되지 않고 셔터를 누르고 다시 태양이 나타나
길
기다렸다.식이 약 80% 진행된 초승달 모양의 태양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지금부터는 부분일식에서 볼 수 없었던 다른 현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제 태양은 아주 월령이 작은 초생달과 같아졌다.렌즈 앞의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09
모든 점은 동등하기 때문에 어느 점을 특별히 골라잡을 수 없고 따라서 그 위치를 측정할
길
이 없다. 다시말해 완전한 대칭성이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물리량은 측정될 수 없고 우리는 그 존재를 느낄 수 없다는 얘기다. 이러한 논리가 설득력을 가지려면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이 서로 동등하다는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