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아 아토피 피부염, 원인은 장내미생물 불균형
동아사이언스
l
2018.05.14
미생물이다. 미생물들의 대사산물은 면역세포와 내분비세포는 물론, 신경세포에까지
작용
해 생체 기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로바이옴이 균형 있게 발달하지 못하면 면역력이 떨어져 아토피에 걸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유만 먹은 영아보다 모유와 ... ...
게임팩에서 왜 쓴맛이 날까...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실체
과학동아
l
2018.05.14
혀에 있는 수용체들 가운데 쓴맛 수용체는 다른 수용체와 달리 한 수용체가 다양한
작용
기와 결합한다”며 “이 때문에 단맛이나 짠맛 등 다른 맛에 비해 쓴맛에 유독 민감하다”고 말했다. 쓴맛을 내는 화학물질 중에서도 데나토늄 벤조에이트는 ‘쓴맛의 왕’으로 불린다. 지구상에서 가장 쓴 ... ...
[과학사진관] 스냅스뇌질환 연구원의 작업일지 ②
동아사이언스
l
2018.05.14
세포 하나하나는 정보전달 능력이 떨어져 있었다. 전체적으로 뇌 내부의 부분 간 상호
작용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전체의 기능이 약화되어 표현형인 정신 질환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도 마찬가지다. 개인이 부도덕하고 이기적인 사회의 경우, 개인은 최대의 이익만 추구할 뿐 타인에게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약한 사람을 괴롭히는, 텃세의 심리학
2018.05.13
합니다. 각각의 역할을 나누기도 하죠. 텃세, 즉 세력권 만들기도 이러한 생물학적 상호
작용
중에 하나입니다. 텃세는 포유류만이 아니라, 조류나 어류에서도 관찰되는 보편적 현상입니다. 주로 한 지역에서 오래 머물러 지내는 종에서 텃세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것을 ... ...
인간의 호흡법은 바다 화산의 극한 미생물에서 유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1
‘스냅샷’을 얻을 수 있다. 최초의 생명체라할수 있는 극한미생물이 호흡할 때
작용
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분자구조가 밝혀지면서 이를 바탕으로한 생명체의 에너지 생산체계 진화 과정 연구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생물학에서 호흡은 세포 내 생명 활동에 필요한 화학에너지 생산과정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메르켈 세포와 활성신호를 보내는 미지의 세포(아직 실체를 규명하지 못했다)가 함께
작용
해 적당한 수준의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 반면 노인의 피부에서는 메르켈 세포의 억제신호가 약해져 가벼운 물리적 자극에 대한 반응의 균형이 깨지면서 지속적으로 강한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 참고로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궁극의 웨어러블 로봇 가능할까… ‘아이언맨’
동아사이언스
l
2018.05.08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익항공기는 로터를 회전시켜 공기를 아래쪽으로 밀어 보내고, 그 반
작용
으로 하늘로 솟아오른다. 여객기와 같은 고정익항공기는 빠른 속도로 전진하면서 날개로 인해 생기는 양력을 받아 날아간다. 하지만 아이언맨은 이 둘 중 어느 쪽도 아니다. 얼핏 보기에는 ... ...
아이유는 왜 속삭였을까...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
과학동아
l
2018.05.06
느낌까지 함께 얻을 수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ASMR은 개인의 경험에 따라 복합적으로
작용
하는 만큼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고 말했다. 평소 라면을 좋아하고 자주 먹는 사람들이 라면을 광고하는 ASMR에 더 강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실험자 수가 적어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아이유 ... ...
[표지로 읽는 과학] 꽃가루관 칼슘 농도가 식물의 신경전달반응을 결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5
이처럼 칼슘의
작용
은 동물의 신경신호전달 과정에서 중요하지만 식물에서 어떻게
작용
하는지 밝혀진 바가 별로 없었다. 최근 식물의 꽃가루관속 칼슘 농도가 신경신호 전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나왔다. 이 논문이 실린 5월 첫째주 학술지 사이언스 표지는 꽃가루관이 투사된 ... ...
[과학사진관] 늙어가는 시간은 모든 것을 가르쳐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기장)이 동시에 가해질 때 급격히 팽창한다. 쌍극자-쌍극자 상호
작용
을 유도하는 전기장과 초음파 사이의 줄다리기의 결과다. 둘 사이의 힘겨루기로 인해 나타난 이미지에서 뇌의 피질과 부은 손가락의 지문이 연상된다. 실제 대뇌 피질은 콜로이드 군집과 비슷한 구조적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