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예상보다 더 찾기 힘들 것”
2015.03.29
암흑물질 사냥에 들어간다. 암흑물질이란 질량을 가지고 있어 중력과는 상호작용하지만
빛
을 흡수하거나 반사하지 않으며, 자연계에 알려진 다른 힘에는 영향을 받지 않아 감지하기 힘든 미지의 물질을 말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에도 분명히 존재하지만 그 특성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어 ... ...
세포 속에도 ‘도로’와 ‘트럭’이 있다
2015.03.29
검은 우주 한 가운데 놓인 거대한 원반이 휘몰아치는 듯 표현됐고 원반 가운데서는
빛
과 바람이 뿜어져 나온다. 블랙홀의 존재를 한 눈에 추측할 수 있는 그림이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블랙홀과 블랙홀을 포함한 은하를 발달시키는데 블랙홀 주위에 생기는 강착원반이 도움을 주는 것으로 ... ...
값싸고 휘어지는 저가 태양전지 나온다
2015.03.29
높였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돼 흔히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태양으로부터 온
빛
에너지 100 중 25를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을 만큼 효율이 좋지만(발전 효율 25%) 딱딱하고 휘어지지 않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응용하기 어렵고 가격 또한 비싼 단점이 있었다. 또 축구공 모양의 ... ...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3.26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소신스키는 눈이 사물을 보는 원리를 들었다.
빛
이 망막에 맺힐 때 뇌는 3차원 세상을 2차원 이미지로 인식한다. 그래서 사물을 3차원적으로 생각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물건을 손으로 만지거나 물건이 움직이는 소리로 생김새를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이용해 회로를 그려내는 방법을 찾아냈다. 경화되는 부분을 산소를 이용해 조절하면
빛
에 반응하는 부위를 조절할 수 있게 돼 입체적인 회로를 자유롭게 그릴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더 발전시키면 반도체 제조공정 이외에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패치형 약물 전달체, ... ...
차세대 양자점 TV 성능 3배 더 UP!
2015.03.25
새롭게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자점 LED는 아주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
을 낸다. 기존 방식보다 색을 재현하는 능력이 훨씬 우수하고 장시간 구동도 가능하지만 소비전력이 높아서 발광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연구진은 기존 양자점 LED에서 주로 양극 전자로 사용하던 ... ...
원하는
빛
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것이다. 박 교수는 “나노선 합성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개척했다”면서 “특정한
빛
만 민감하게 감지하는 광검출기 등에 응용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나노분야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10일자에 게재됐다.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물체를 액체 속에서 뽑아내는 비결은
빛
과 산소다. 재료가 굳어야 할 부분에는 자외선
빛
을 쪼여주고 굳지 말아야 할 부분에는 산소를 쏴 줘서 원하는 모양을 갖추게 해 준다. 드시몬 박사는 “수십cm 크기의 입체를 0.1mm 오차도 없이 기존 제품보다 25~100배 빠르게 찍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서리지 않는 것이다. 또 나노 돌기 덕분에 표면이 울퉁불퉁해져 일반 유리보다 반사되는
빛
의 양이 줄어 뒷면도 선명하게 보였다. 문 센터장은 “휘어진 유리에도 나노 돌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라며 “안경이나 자동차 백미러, 후방 카메라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노년층 입원 질환 1위 백내장, 원인은 ‘노화’
동아닷컴
l
2015.03.18
빛
을 조절해주는 볼록렌즈 모양의 조직)가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수정체가 혼탁해지면
빛
이 수정체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 사물이 뿌옇게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건이나 글자를 제대로 분간하기 어렵고 유리문이 있는지 알지 못해 부딪히거나, 약 봉투의 글자를 잘못 읽어 엉뚱한 약을 먹기도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