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자전거로 아내를 실어 나를 수 없어요. 상상해보세요. 한밤중에 아이를 낳아야 하는데 6~
7
km를 걸어가야 한다면 말이에요. 병원은 우리에게 너무 멀어요.”말라위의 사례는 여전히 지구의 많은 나라에서 질병이 단순히 질병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어요. 말라위 야오족의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 한 독자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지난
7
월호에 나갔던 ‘귀신 여러분~ 찍습니다~ 김치!’에 대해서 의견을 써 주셨더군요. 귀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비물질적인 존재라 검출기를 만들 수도 없습니다”라고 썼는데, 여기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셨습니다. 그래서 그 반론에 대해 다시 반론을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열린 의사의 장례식에서 그의 형제 두 명이 에볼라에 감염됐다. 형제는 올해 3월
7
일과 8일에 각각 숨졌다.세계보건기구(WHO)는 3월 24일 기니 남부의 게케두, 마센타, 키씨도고에서 86명의 에볼라 환자가 발생해 60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WHO가 기니의 세 도시에 에볼라를 퍼뜨린 사람으로 지목한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요인이다. 최근 에볼라 환자가 9명이나 발생한 나이지리아는 인구 1억
77
00만 명으로 세계
7
위 인구대국이다. 아프리카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다. 왜 WHO가 비상사태까지 선언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 ...
엄마가 느낀 공포, 냄새로 유전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공포를 아기 쥐에게 전달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
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임신을 하지 않은 암컷 쥐에게 전기자극과 함께 박하향을 맡게 했다. 냄새와 두려움을 연관 지은 것이다. 이 쥐가 새끼를 낳자, 연구팀은 태어난 지 하루밖에 되지 않은 새끼를 ... ...
제논 먹는 하마 CC3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15분 만에 사라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기존의 제논 분리기술보다
7
배 정확하고 20배 이상 많은 제논을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로보컵은 ‘월드컵 개최국에서 연이어 로봇시합도 진행해 보자’는 취지로 브라질에서
7
월 21일부터 일주일간 열렸다.로보컵이 명성을 얻기 시작한 건 2002년 인간처럼 두 발로 공을 차는 휴머노이드 리그가 생긴 다음부터다. 휴머노이드 리그는 로봇 크기에 따라 세부 리그가 결정된다. 키 130~180cm로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1일 WHO의 승인을 받았지만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는 내년
7
월 상용화를 목표로 백신 개발 중이다.감염경로● 이번 서아프리카 사태에서는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에볼라가 전파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의 체액을 통해 전염된다. 에볼라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바이러스를 다루는 곳이죠.”에볼라 환자는 어떻게 치료받을까?에볼라가 확인된 환자는 1
7
개 국가지정입원치료병원 중 가까운 병원으로 옮겨진다. 이곳에 설치된 격리병상에도 헤파필터가 설치돼 있다. 외국에서 치료제를 들여올 때까지 증상치료(대증요법)만 진행한다. 생물안전도의 정의 및 취급 ... ...
자살 알려주는 혈액 검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생각하거나 실제 행동으로 옮기기 쉽다는 연구결과를 ‘미국정신의학회지’ 온라인판
7
월 30일자에 발표했다. SKA2는 부정적인 생각이나 충동적인 행동과 관련 있는 뇌의 전두엽 전부피질에서 찾을 수 있는 유전자다. 이 유전자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불리는 ‘코티솔’의 분비를 조절하는데, SKA2가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