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은가루 속의 짝별 알비레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일반인● 참가비 : 3만5천원● 모임장소 : 서강대학교 정문, 8월5일 오후 1시● 주 최 : 신
태양
쇼핑(주)☎778-4656, 319-0303(※ 천체 망원경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개인 장비를 가지고 가실 수 있습니다. ... ...
1 TV난시청지역 완전해소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참여한 국내 업체는 금성정보통신(중계기의 일부 품목) 대한항공(위성체 구조물 및
태양
전지판 구조품) 한라중공업(위성체와 발사체 결합장치) 등이다.앞으로 차세대 위성사업은 국내업자가 주계약자가 되어 국내 기술진들이 설계하고 조립할 계획이다. 우주환경시험을 종합적으로 실시할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있다. 허블망원경 역시 3년도 안돼 최고의 하이테크 기술로 제작된 전자부품이 손상됐고
태양
전지판도 심하게 훼손됐던 것이다. 그만큼 우주환경은 거칠다.인간의 우주개발사는 우주사고를 통해 한단계씩 진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패가 성공의 어머니'라는 진리는 우주 개발사에도 그대로 ... ...
20세기 천문학의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족히 넘었다. 물론 그 안에는 모두 지름이 2m 가량되는 망원경들이 있는 것이다. 그 중
태양
망원경은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어 널리 알려져 있다. 빈커트에게 "돔이 전부 몇 개냐"고 묻자 "최근에는 세어보지 않아서 모르겠다"고 답한다. 계속 세우고 부수고 하는 모양이었다. 우리가 방문했을 때 지름 ... ...
슈메이커-레비혜성 목성충돌시 3단계 광도변화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정점에서 발견됐기 때문이다.허블망원경이 찍은 연속 사진에도 충돌 수분 후에
태양
광을 산란시키는 입자가 존재함이 나타났다. 팔로마산의 5m 망원경이 관측한 스펙트럼에서는 혜성먼지의 성분인 규산염 입자의 존재가 드러나기도 했다. 충돌 후 15-20분이 지나면 메인이벤트는 급속히 쇠락의 길을 ... ...
한국말로 지은 화성 금성 지명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나주가 나타난 두 장의 사진은 바이킹 1호와 2호가 촬영한 화상을 모자이크한 것이다.
태양
계 내 천체에 대해서 적용되는 명명법에서 중요한 철칙은 19-20세기의 정치가, 군인 및 현존하는 6대 종교에 관련된 사람의 이름을 배제한다는 점이다. 국제천문연맹에서는 가능한한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한 ... ...
1 '암·백혈병의 원인' 연구발표 잇달아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처음 발표됐을 때는 마치 갈릴레이가 수백년 전 "지구는
태양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라고 얘기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보인 반응처럼 모진 비난을 받았던 것이다.그러나 현재의 의학과 과학이 전자파가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을 증명하지 못한다고 해서 전자파의 ... ...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것을 볼 수 있다. 관측 결과
태양
풍이 이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드러났다.
태양
풍은 지구 자기장에도 영향을 준다. 이 지역은 다른 코로나 영역보다 온도가 낮고 밀도도 떨어진다. 따라서 X선의 방출 세기도 약해져 주변보다 어둡게 나타나는 것이다.우리가 밤하늘에서 관측하는 별은 ... ...
3. 생물, 자연주기와 생체리듬 맞춰 환경적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곰팡이의 포자방출이든 그리고 초파리의 우화현상이든, 그 결과는 매일 1시간씩
태양
일보다 빨라져서, 2주일 이내에 외계의 위상과는 정 반대의 시간(낮과 밤)으로 바뀌어 있게 된다.지금까지 알려진 자유연속리듬의 극한치는 일종의 조류(藻類, Oedogonium)의 포자방출리듬 22시간과 식물(Phaseolus ... ...
별 탄생의 순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시각에 촬영한 것. 이때 토성 테는 위의 사진보다 75% 가량 어두워졌지만 테의 옆면 역시
태양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사라진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위성레아(Rhea)가 토성의 왼쪽에 보이며 엔셀라두스(Enceladus)는 오른쪽 테에 밝은 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야누스는 그 오른쪽에 모습을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