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물과 공기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프로펠러가 물을 밀어내며 추진력을 얻을 수 있지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물 주머니를
이용
했어요. 물을 채우면 한쪽이 무거워지며 방향을 바꾸도록 만든 거예요.라와쉬드 교수는 “룬 콥터가 침몰한 선박이나 항공기 내부 수색작업에 활용되길 바란다”고 밝혔답니다.날갯짓을 조절해 물과 공기를 ... ...
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경연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팀 이름 ‘에폭시(Epoxsea)’에서 알 수 있듯, 방수 기능이 있는 ‘에폭시(epoxy)’ 소재를
이용
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지요.Q. 어떻게 벨루가를 만들게 됐나요?사실 올해 대회에 출전한 학생들 중 6명은 작년에도 출전했어요. 그때 벨루가의 엄마뻘 되는 수중로봇인 ‘올카(Orca)’를 만들어 4등을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결정하는 것이 아니었어요. 자신들이 갖고 있는 골판의 아름다운 모양과 화려한 무늬를
이용
해 암컷들로부터 선택을 받은 거예요. 수컷 공작새가 암컷 공작새에게 더 잘 보이기 위해 화려한 깃털을 지니게 된 것과 같은 방식이랍니다.# 현재 가장 확실하게 암컷과 수컷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단 한 ... ...
[과학뉴스] 개미 탑의 원리를 밝혀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쌓는 과정은 간단해요. 우선 선두에 나선 붉은 불개미는 발바닥의 끈적끈적한 액체를
이용
해 탑의 뼈대를 세워요. 그 다음 수많은 붉은 불개미가 탑의 빈 공간을 채우지요. 이 과정이 끝나면 새로운 개미가 위층으로 올라가면서 탑을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만들어요.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붉은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침팬지처럼 먹이를 잡기 위해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은 꽤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도구를
이용
해 음악을 연주하는 동물은 우리뿐이지요.모두 같은 음악을 연주하는 거야?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교 연구팀은 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가 연주한 131곡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이 새가 연주하는 곡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스케이트보드는 한 발은 보드에 올리고 다른 발로 땅을 차며 작용-반작용을
이용
해 앞으로 나아가요. 그런데 이 스케이트보드가 언덕을 내려갈 때면 여느 차와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어요. 지난해 스웨덴의 에릭 룬드벅 선수는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시속 130.63km로 언덕을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재료나 몸에 부착하는 전자기기에도 활용할 수 있답니다.한편, 바다에 풍부한 해조류를
이용
해 만든 종이도 등장 했어요. 충남대학교 서영범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나 김 등의 ‘홍조류’에서 홍조 섬유를 얻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답니다. 홍조류는 바다 어디에서든지 자랄 수 있고, 두 달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있어요. 반면 애벌레는 식물의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능력이 있지요.따라서 이 물질을
이용
하면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천연 약을 개발할 수 있어요. 또 미래의 중요한 식량 자원이 될 것으로도 보고 있답니다.박사님은 “곤충은 현재까지 알려진 종만 200만 종이 넘으며, 실제로는 2000만 종이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네 발로 움직이는 로봇이 되지요.◀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이상영 교수팀은 종이를
이용
해 접을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들었다.최근 연구팀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여러 개의 로봇을 하나의 판으로 붙이는 연구도 진행했어요. 로버트 우드 교수는 “로봇이 하나의 판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위급한 구조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소리를 내는데, 종에 따라 자신만의 고유한 파장을 갖고 있어요. 이 고유한 파장을
이용
해 배우자를 찾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이 파장을 분석하면 어떤 모기인지 구분할 수 있어요.한편,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도 ‘글로브 옵서버(Globe Observer)’ 앱을 통해 모기 서식지 지도를 작성하는 시민과학을 시작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