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배출에 대한 기준이 불이 터널 중앙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가정했다는데 있다. 터널의
길
이를 하나의 선으로 생각한다면 정중앙은 그 선위의 한점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화재가 터널 중앙에서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기계연 김명배 박사는 “횡류식 환기시스템에서 화재 발생시 ... ...
21세기 신 르네상스 시대로 가는
길
퓨전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최근 미국, 일본, 우리나라가 새로운 과학기술 발전 전략을 내놓고 있다. 생명기술(BT), 나노기술(NT), 정보통신기술(IT) 등의 첨단 신기술은 물론 인지과학까지 각종 과학기술분야를 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의 융합은 21세기 신 르네상스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중2 수준에서 별로 발전하지 못했고 물리나 화학도 마찬가지였다. 그에게 손쉬운
길
은 수학이었다.그가 수학을 선택한 또다른 이유는 수학의 ‘가치중립성’ 때문이었다. 전쟁 때 남쪽이든 북쪽이든 지식인을 적대시했기 때문에 공부를 한 것이 영예가 아니라 오히려 피해 다녀야 하는 입장이었다. ... ...
거품의 과학이 빚어낸 마술 버블쇼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용액 속 성분 비율이 비법팬 양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큰‘메가버블’이나
길
게 꼬리를 내는‘스모크버블’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큰 비누방울이 어떻게 터지지 않고 그 모양을 유지할 수 있을까. 집에서 세제를 물에 타 비누방울을 만들어보자. 금방 터지기 일쑤다. 아무리 비누방울을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길
을 접고 두 문화의 중간영역을 고심하는 한 대학생이 있었다.결국 그가 선택한
길
은 과학사·과학철학 분야.과학사·과학철학은 오늘날 더욱 심하게 분열된 과학과 인문학의 중간쯤에 위치한다. 때문에 그 학생은 이후 상이한 두 문화를 맛보는 재미를 느꼈지만 동시에 언제나 둘 사이를 오가며 ... ...
줄기세포로 난자 만드는데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최초로 줄기세포를 이용해 난자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한스 쉘러 박사팀은 쥐의 배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난자로 분화시키는데 성공해 과학전문 ... 수있는지는 아직 증명되지는 않았다”며“이 기술이 인간의 불임치료에는 적용되지 않
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가까운 친척이다. 또한 어린 새끼들은 자신의 아들이거나 가까운 친척의 후손이다. 권오
길
강원대 생물학과 교수는 “이런 사회 구조는 수컷 침팬지에게 진화적 이점을 부여한다”고 설명한다. 자신의 후손을 더많이 남기기 위해 다른 수컷과 싸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한편 침팬지는 보통 알고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대신 중국 과학기술부는 8개 연구기관에 대해 약 1억4천6백만원의 상금을 내걸고 베이징
길
바닥에 지저분하게 달라붙은 껌들을 떼어내기 위한 용해제 개발을 독려하고 있다.자연 분해되는 껌이 지닌 문제만일 달라붙지 않는 껌이 개발된다면 바닥에 붙은 껌을 떼려고 애쓸 필요가 없지 않을까. ... ...
'코어'로 들어가는 방법 제안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최근 개봉됐던 영화 ‘코어’에서는 정예요원들이 지구 내부의 외핵으로 들어가려고 시도한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지구물리학자 데이비드 스티븐슨은 이처럼 영화에서 ... 말한다.정보를 전달할 지진파가 빠른 속도로 약해지는 것을비롯한 여러가지 문제가 생
길
수 있기 때문이다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옆에 있을 때보다 더 작아보이는 현상도 이에 해당된다. 즉 도형의 방향·각도·크기·
길
이 때문에 눈이 착각하는 것이다.밝기나 빛깔의 대비에 의한 착시현상도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밤에 자동차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달릴 때 운전자는 중앙선에 서있는 사람이 자동차의 불빛 때문에 잘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