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과학동아 l1991년 04호
- 동양 3국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패류에 산란하는 특징 때문에 어류학자와 패류학자가 공동으로 연구해야 할 대상이다. 이 어류는 사육이 쉽고 색이 고우며 맵시도 예쁘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는 어종들이다. 관상용으로 개발하려면 패류사육이 필수적임은 물론이다.인공진주의 ...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이 계획은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전남대학교와 일본의 교토대학, 나고야 대학이 공동으로 추진하여 이루어졌다.이번에 설치된 지진계는 스위스에서 개발된 STS(streckeisen)형 정밀지진계로 0.1초부터 1일까지의 주기를 측정할 수 있는데, 두개의 수평성분과 세개의 수직성분을 모두 측정한다. 지진계는 ...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않아도 교수 1인당 학생수가 적어 리포트나 시험에 대한 지도가 철저한데다 교수와 공동일을 함으로써 접촉할 기회는 더욱 잦아진다. 뿐만아니라 프로젝트에 연구조수(RA, Research Assistant)가 되거나 강의 조수(TA, Teaching Assistant)로 참여하게 되면 학비는 물론 생활비도 일부 보조되므로 학생들로서는 ... ...
- 사과는 수직으로 쌓아라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얇을수록 더 쉽게 흠집이 나고 흠이 생기면 파손에 저항하는 능력도 훨씬 약화된다고 공동연구자들은 밝힌다.서구와는 정반대의 관습으로 일찌감치 사과를 수직방향으로 쌓는 우리민족. 과학적인 이치를 깨우쳐서 그렇게 한 것일까 ... ...
- 20세기안에 고온초전도 상품 나올듯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연세대 등 10여개 대학팀, 그리고 산기연(포철부설)등이 87~89년 사이에 35억원의 연구비로 공동연구를 수행하여 임계온도 1백10K 수준의 물질합성, 단결정 및 박막의 제조, 그리고 임계전류가 1천A/㎠급의 선재제작에 성공했으나 미국 일본 등과는 많은 수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과학동아 l1991년 03호
- College of Art) 등에서 교육을 받은 디자이너들이 속속 귀국하고, 외국 디자인연구소와의 공동연구 등을 통해 디자인 기술을 축적함으로써 자체 디자인개발능력을 어느정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나타 디자인은 자체 디자인팀에서 개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대우와 기아에서도 자체 ...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교수였던 레더만 슈발츠 스타인버거 박사 등 3인은 1989년도에 노벨물리학상을 공동수상 한 바 있다. 지구로 오는 동안「하이드」로 변해전자와 반응을 일으키는 중성미자를 | 지킬>, 그렇지 않는 중성미자를 |하이드>라고 하자. 대학에서 물리를 전공한 학생이면 알겠지만 |>의 기호는 어떤 상태를 ...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Lockley)교수가 여러차례 방문,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1989년부터는 필자와 함께 국제 공동 연구를 착수,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그에 따르면 이곳의 족흔화석이 적어도 유라시아대륙에서는 최대의 산지라고 한다.그동안 조사 연구한 바에 따르면 덕명리 실바위해안으로부터 동쪽으로 경남 ...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금상을 받은 '라라1호'도 큰 관심을 끌었다. 일본 도요타 자동차사와 아사히그룹이 공동제작한 이 솔라카는 일반도로에도 곧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1억엔의 제작비가 든 이 차의 소재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펄프.또 이 대회에서 신소재상을 받은 일본의 '서든 크로스 2'호는 재료공학자들의 ...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에서 얻은 데이터에는 상식적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곳이 몇군데나 있었고 버트의 공동연구자라고 명시한 여성들은 실제 인물이 아니었다고 한다.이들 유전론자에는 심리학자들외에 다른 분야의 학자들도 기세했는데 그 중에는 쇼클리도 포함돼 있다.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노벨상을 수상한 그는, ... ...
이전3483493503513523533543553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