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4,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310
- 도체의 모양이나 전기장의 세기에 관계없이 전기장 속에 놓여진 도체의 내부는 전기장이 0이다. 즉 전위가 모두 같다.이는 호수의 한쪽에만 물을 공급한다고 해서 그쪽의 수면이 다른 곳보다 높지 않은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높이 차이가 생기는 즉시 물은 스스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여 ... ...
- 지구과학- 지층과 화석, 지구의 현재와 미래까지 알려준다과학동아 l199310
- 지구 생성과정을 알아보면 50억년 전 현재의 태양 질량보다 큰 원시태양성운이 반경 약 10AU(1AU는 지구에서 태양간의 거리) 정도로 흩어져 서서히 회전했다. 이 성운이 중력에 의해 중심으로 수축하게 됐고 이때 각 운동량이 보존돼 회전속도는 점차 빨라지게 됐다. 성운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이 ...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과학동아 l199309
- 있다.□ 기타 우주론혼돈(chaotic) 인플레이션 우주는 린데가 주장한 것인데 스칼라(스핀이 0인 물질)장을 도입하였다. 이 스칼라장이 양자 요동 때문 에 우주 초기의 어느 구역에서 큰 값을 가지는데, 장의 에너지가 우주상수 효과를 하게 되고 구역에 있는 장의 에너지가 느리게 감소하여 인플레이션 ... ...
- 우리별 2호과학동아 l199309
- 위성체의 무게가 도합 2. 5t(주탑재물 2.4t+보조탑재물 0.05X2t)인 반면 발사체의 무게가 3백20t이나 되는 거대한 몸집을 가지고 있다. 물론 로켓의 몸체가 3단이기 때문에 올라가면서 몸집이 가벼워지기는 하지만 역시 많은 힘이 든다. 우리별 같은 아주 가벼운 위성을 단독으로 쏘아 올리려 해도 이와 ...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과학동아 l199309
- 하겠다.이상의 4가지 장벽을 피하면서 자그마한 제목들을 정해 초전도체 관련 연구를 90년 겨울부터 시작하여 91년 대한 화학회 춘계총회에서 3편, 추계총회에서 4편, 92년 추계에 4편, 93년 춘계에 5편을 발표했다.끝으로 초전도 혁명이 이 땅에서 성공되어 전 세계로 퍼져 나가고, 금세기말 최대의 ... ...
- 2. PC와 PC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과학동아 l199309
- 보통 10base-T라고 부르며 가정과 사무실에서 쓰는 표준 전화선과 같다. 이 케이블은 이미 50년 이상 가정과 회사에서 사용되었지만 랜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오래되지 않는다. 굵은 이더넷 케이블이나 가는 이더넷 케이블 대신 사용될 수 있지만 컴퓨터에 장착된 랜 인터페이스 카드에 연결하기 ...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과학동아 l199309
- 처음으로 간단한 혼돈칩을 개발해 이 칩을 사용한 응용시스템을 발표했다 이 칩에는 10여개의 차등증폭회로를 사용한 비선형회로와 시간지연회로가 설계돼 있으며 간단한 혼돈현상이 CMOS회로로 구현됐다. 또한 동경 전기대학의 아이히라교수와 상지대학의 쇼노교수 연구실에서도 CMOS로 혼돈칩을 ...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과학동아 l199309
- 포함돼 있다. 탄산이온이 녹아 있는 물은 신선하고 산뜻한 감미를 준다. 적당한 농도는 3-30PPM정도가 적당하다.넷째, 산소는 5PPM정도가 적당하다. 이 이하는 유화수소 또는 철분의 맛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맛이 없다다섯째, 온도는 10-15℃가 최적의 맛을 낸다.이상이 맛있는 물의 조건이라 할 수 ... ...
- 세갈래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과학동아 l199309
- 조각으로 은하수의 일부분이다. 쌍안경이나 광시야의 망원경에서 가장 잘보이며 60배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이 별구름의 동쪽 끝에 이중성 β639와 그것의 15분 북북서쪽에 산개성단 NGC6603(11.4등급, 크기 4.5도)가 보일 것이다. 이 희미한 모임은 6인치보다 작은 망원경에서는 지나치기 쉬운 대상이다 ...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과학동아 l199309
- 많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새 개념초전도연구회를 조직 중인데 여기에는 학계에서 20명, 연구소 5명, 산업체 5명 등이 참여할 예정입니다."-적극적으로 연구를 같이 하고 있는 분들을 소개해주시지요."박성호 고대전자과 교수, 이홍희 서울대 화공과 교수, 권동용 변리사(화학박사), KIST의 ... ...
이전3483493503513523533543553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