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03
안테나페디아 유전자를 파괴시키고 비슷한 쥐의 호메오틱을 도입한 결과 발생한
초
파리 역시 안테나가 다리로 변한 기형이었다 한다.앞으로 호메오틱 유전자를 과다발현시키거나 그 유전자의 발현을 중지하는 기술을 이용하든지, 아니면 다른 종류의 호메오박스를 서로 바꾸어 도입하는 등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03
중국은 1960년경에 V-2 로켓과 비슷한 형태의 로켓 발사에 성공하고 1970년 4월에는 중국 최
초
의 인공위성인 동방홍 1호를 발사한 장정 1호 로켓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지금까지 자국의 인공위성을 자국의 로켓으로 발사한 나라 중 일본과 인도, 그리고 이스라엘을 제외한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03
상식상현달보다 조금 큰 월령 8.1일의 달이 오리온자리 Chi을 가리는 성식이 이달 20일
초
저녁에 일어난다. 이 별은 19시 04분경 달의 어두운 부분으로 사라졌다가 20시 28분경 달의 밝은 쪽으로 빠져나온다.3월 북쪽 밤하늘1일 : 오후 9시15일 : 오후 8시30일 : 오후 7시동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국자 모양의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골치덩어리였지만 이제는 인간의 수중에 들어왔다. 혼돈제어 연구는 아직 5년이 안된
초
창기이지만 희망적인 출발이라 아니할 수 없다.미국의 혼돈제어 연구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분야는 난류이다. 예컨대 다랑어는 같은 크기와 성능을 가진 수중장치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빨리 나아갈 수 있다.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가지런히 모이게 되면서 '쾅'하고 출발신호탄이 터지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우주의
초
기에도 이와 같은 사건이 있었고 모든 은하들이 한곳에 모여 있다가 그 시각에 대폭발이 일어나서 서로 멀어지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멀어지고 있어서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이 대폭발이론(Big Bang theory)이다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02
조감도를 위한 사진 등을 적은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연은 항공 과학의 기
초
분야다. 보다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을 알기 위해 노력하면 우리의 미래는 창공을 누비는 연처럼 희망적일 것이다 ... ...
기
초
과학 연구의 상징 SSC 건설계획 중지
과학동아
l
199402
거대과학은 사멸하는가. 게놈 계획, 우주정거장(프리덤)과 함께 거대기
초
과학의 상징물로서 세계 과학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초
전도거대가속기 ... 아니면 지속이냐'는 문제는 미국뿐 아니라 일본이나 유럽의 물리학을 비롯한 여타 기
초
과학연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전자(물질)와 충동함에 따라 방사광(감마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어느 분야의 기
초
과학 연구도 '떡고물'은 존재한다. 생명의 신비를 밝히려는 유전자연구가 과학수사에도 활용되듯이 반물질을 연구하다 보면 많은 부수적 활용이 기대된다. 반물질 연구의 대표적 떡고물은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
디지털 고속도로 종합정보통신망
과학동아
l
199402
필요로 하는 국가의 주요기관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고속도로'에 해당한다.정부는
초
고속정보통신망의 1단계 작업으로 오는 97년까지 현재 9천6백bps급 수준에 머물고 있는 행정전산망 등 국가기간망을 1백55Mbps급으로 끌어올리고 전국의 행정전산망과 교육정보망을 모두 수용하는 광역 종합정보망을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추적했다.하지만 대서양과 인도양의 경우에는 ${ }^{13}$C의 실측값이 없기 때문에 1960년대
초
의 핵실험에 의해 대기로부터 유입된 ${ }^{14}$C 값을 이용해 ${ }^{13}$C 값을 추정해서 사용했다. 그들이 탄소 동위원소비를 이용해 계산해낸 전세계 바다의 탄소 흡수량은 12억t이었는데, 나머지 약 10억t의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