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05
AIST)의 HRP시리즈 등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유일한 예외가 있는데,
미국
의 군사용 로봇 제작업체인 보스톤다이나믹스에서 만든 두발로봇은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써서 만들었기 때문에 포유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포유류 형태의 유압식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곳은 ... ...
지식산업 밝힐 경영과학의 길
과학동아
l
201105
개발할 계획이다.“이제 경영과학은 제조업을 넘어 지식산업에 쓰여야 합니다.
미국
의 경영학자인 피터 드러커 교수는 앞으로 지식노동자의 생산성을 잘 측정하고 이에 근거해 적절한 동기부여를 해 주는 나라가 앞설 것이라고 말했죠. 지식산업을 이끌 경영과학을 함께 연구할 훌륭한 인재가 우리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05
높아지고 있다. 또 촉매화학의 발전이 저에너지 화학기술의 등장을 촉진하고 있다.
미국
의 9.11 테러사건이 그 필요성을 부각시킨, 미량 독성물질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화학 분석기술의 빠른 발전은 개인 보호 및 국가 안보에 큰 공헌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환경지킴이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식물의 ... ...
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
과학동아
l
201105
빗물 한 방울 맞아도 괜찮은지 여전히 확신이 들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왜 그럴까.
미국
의 저널리스트 말콤 글래드웰은 한 칼럼에서 ‘퍼즐’과 ‘미스터리’가 어떻게 다른지 소개했다. 정보가 부족해 조사와 취재를 통해 진실의 윤곽을 하나하나 끼워 맞춰 나가야 하는 것은 퍼즐이다. 미스터리는 ... ...
Part 1. 방사능 논란, ‘저선량 방사선’이 문제다
과학동아
l
201105
986년 체르노빌 사고가 가장 좋은 기회인데, 여기에서도 명쾌한 결론을 내릴 수가 없었다.
미국
콜롬비아대 방사선연구센터의 데이비드 브레너 교수는 4월 5일 ‘네이처’에 보낸 기고문에서 “저선량 방사선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환자들을 관찰하지만, 아무 일도 하지 않아도 대부분의 환자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05
줄이려는 노력도 있다. EU는 2006년에 성장 촉진을 위한 항생제의 사용을 금지했다. 200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가금류에서 사용하는 일부 항생제의 사용을 금지했다. 우리나라도 항생제 사용량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005년부터 성장촉진 목적의 항생제 감축정책을 펼쳐 2009년 전체 ... ...
“나를 키운 건 8살짜리 궁금증”
과학동아
l
201105
과학철학자로1967년 장재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의 둘째아들로 태어난 장 교수는 16세에
미국
고등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그는 스탠퍼드대에서 ‘양자물리학의 측정과 비통일성’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도유망한 물리학도가 왜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05
오염이라면 선박에서 새어 나온 기름과 폐기물에 의한 오염은 일상적이다. 지난해
미국
멕시코만 일대에 재앙을 불러온 ‘딥워터 호라이즌 호 사고’ 때는 모두 77만 9000m3의 원유가 흘러나와 생태계를 오염시켰다. 이는 역사상 5번째로 큰 규모다. 한국에서도 2007년 ‘허베이 스피리트 호 사고’가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05
창출과 경제성장을 이끌어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했다”고 말했다. 실제 1980년대 이후
미국
의 일자리 증가 대부분을 신생기업이 창출했다. 벤처야말로 나라에 새로운 일거리를 만들어 나라를 풍요롭게 만드는 도전이라는 것이다. 서울대 학생벤처네트워크를 비롯한 전국의 수많은 학생벤처동아리의 ... ...
밤에 사냥했던 벨로시렙터
과학동아
l
201105
하지만 이 같은 상식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고생물학자 료스케 모타니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교수팀은 홍채와 동공을 감싸는 얇은 뼈, 즉 ‘동막고리’에 주목했다. 동막고리는 어류와 도마뱀 그리고 조류에만 남아 있다. 연구팀은 동막고리를 갖고 있는 164개 생물종을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