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뉴스
"
하나
"(으)로 총 10,606건 검색되었습니다.
집 앞에 떨어진 돌조각, 알고보니 '생명 비밀' 간직한 운석
연합뉴스
l
2021.03.10
일요일인 지난달 28일 저녁 영국 남부 지역에서 하늘을 가로지르며 활활 타오르는 유성
하나
가 관측됐다. 이 '별똥별'은 영국 자연사박물관 측이 설치해둔 특수 카메라에도 포착됐고, 카메라에 담긴 정보를 활용해 낙하지점을 알아낼 수 있었다. 운석의 일부 조각은 잉글랜드 글로스터셔에 있는 ... ...
화산 연구 선진국 이탈리아와 백두산 분화 연구 함께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논의됐다. VLBI는 멀리 떨어져 있는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네트워크화해 가상적인
하나
의 거대 전파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시스템이다. 정희권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은 “이번 공동위를 통해 양국의 협력의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화산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 ...
A형은 약하고 O형은 강하다?…혈액형으로 본 코로나 취약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국제학술지 블러드 어드밴시스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중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
인 혈액 응고 인자가 O형 혈액형을 가진 사람에게 더 적어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같은 날 덴마크 남부대 연구팀도 덴마크 사람 중 2월 27일부터 7월 30일 사이 코로나19 검사를 ... ...
미생물에 광나노입자 붙여 이산화탄소 화학물질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연구팀은 광전도효율을 높인 황화카드뮴(CdS)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아세토젠 미생물 중
하나
인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놈’ 표면에 부착하는 데 성공했다. 표면에 나노입자를 바른 미생물은 빛에너지를 흡수해 C1가스를 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효율이 기존 기술에 비해 6배 가량 높아졌다.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손상 내용을 요약해 함께 제출했다. 지난해 8월 케이블 중
하나
가 예기치 않게 떨어져 나가면서 보조 케이블과 임시 케이블을 설치하려고 했지만 11월 6일 케이블이 추가로 끊어지며 남은 케이블도 끊어질 가능성이 높아졌고 더는 수리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NSF는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인체세포의 효소를 이용하여 필요한 단백질을 만든다. 이때 만들어진 단백질 중
하나
인 RNA중합효소(RdRp)는 바이러스 증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바이러스 RNA를 대량으로 복제하는 한편 바이러스 구조물을 만든다. 최종적으로 이들은 인체세포 안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완전체로 다시 조합되어 세포 ... ...
[과학게시판] 블루포인트파트너스, '한솔 V 프론티어스' 2기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된다. ■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은 9일 3시 '코로나19 시대, 반려동물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
'를 주제로 37회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을 온라인으로 연다.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가 '반려동물과 코로나19; 전파양상과 원헬스'를 주제로, 채준석 서울대 수의과 교수가 '반려동물 SFTS 및 인수공통감염병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선명하고 어두운 하늘과 안정적인 대기 조건을 갖추고 있어 천문 관측의 최적지 중
하나
다. GMT는 2029년 첫 관측이 목표다. GMTO 이사회 한국 대표를 맡고 있는 박병곤 천문연 부원장은 “GMT 반사경 제작은 거대 시설 설비와 초정밀 공정이 동시에 필요한 현대 최첨단 과학기술의 집약체”라며 ... ...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21.03.08
하는 과정으로 뇌 발달과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VA1
하나
의 유전자만으로 네안데르탈인의 진화적 차이를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크리스퍼라는 최신 기술로 고대 인류의 뇌 기능을 살펴봤다는 데 의미가 크다. 알리슨 무오트리 미국 UC샌디에이고 의대 교수는 ... ...
마지막 티켓 2장을 잡아라…AI대학원 설립 총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의 영향이 컸다. 2012년 힌턴 교수는 AI 딥러닝 구현 기술 중
하나
인 심층신경망 관련 논문을 발표했는데, 당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에서 알츠하이머병 전조 단계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던 진 교수는 이 논문을 접한 뒤 본격적으로 딥러닝을 파기 시작했다.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