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27건 검색되었습니다.
"‘폐기’하세요"…AI가 알려준다 소고기 신선도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알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융합기술원 이규빈 교수팀과 의생명
공학
과 김재관 교수팀이 공동으로 인공지능(AI)에 광 기술을 결합해 소고기 신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식품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푸드 케미스트리’ 2월 23일자 온라인판에 ... ...
[과학게시판]디지털콘텐츠 해외진출 지원사업 기업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등 국내 주요기업의 CTO가 직접 기술개발 경험담과 미래비전을 강의한다. 고려대에서는 '
공학
도를 위한 기업가 정신'을 주제로 총 8회, 숭실대는 '창업 및 기술경영' 강의 9회, 서강대는 '4차 산업혁명과 기업가정신' 강의 5회, 홍익대는 'CTO 특강' 8회를 진행한다. ■연세대는 지난 3일 자원개발 ... ...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21.03.10
강한 태양 빛이 비치고 있다. 이고르 바르가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응용역학 및 기계
공학
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중간권을 비행할 수 있는 소형 비행체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에어로졸 입자가 빛을 흡수할 때 온도차에 의해 빛의 정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반도체에 접목시켜 연구하는 ‘ML그룹’으로 이뤄져있다. 백록현 포스텍 전자전기
공학
과 교수 반도체 소자를 연구하는 로직그룹은 반도체의 기본인 트랜지스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한다. 수십년간 트랜지스터는 집적도를 높이고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메모리 반도체 선두 ... ...
[과기원은 지금] UNIST, 2차원 반도체용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합성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3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에 발표됐다. ■ 강상규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계
공학
부 교수팀은 수소를 생산하는 알칼라인 수전해 시스템 성능에 압력이 주는 영향을 예측하는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모델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진행한 운전 실험 데이터를 이용해 ... ...
빛 쪼여 약물 주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신개념 약물 전달 시스템이 나왔다. 포스텍은 신소재
공학
과 한세광 교수팀과 화학
공학
과 조길원 교수팀이 공동으로 유기 태양광발전 소자를 이용해 자동으로 약물 방출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당뇨병처럼 주기적으로 약물을 주입해야 하는 질병은 환자가 주사를 반복적으로 ... ...
이광형 KAIST 총장 "포스트AI 대비한 KAIST의 신문화 전략은 QA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등을 배출해 KAIST 벤처 창업 대부라고도 불린다. 이날 총장 취임식에는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 개설을 위해 2001년과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발전기금 515억 원을 기부한 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과 이 총장의 제자인 김정주 대표가 참석해 축사 인사를 전했다. 또 이원욱 국회 ... ...
SF영화 '승리호' 속 기술 2021년 어디까지 왔나
수학동아
l
2021.03.06
혹시 지금도 사람과 유사한 피부를 가진 로봇이 있을까? 박형순, 김택수 KAIST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2020년 5월 로봇 손에 사용할 수 있는 인공피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손바닥에 있는 피하지방층이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요인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구멍이 여러 개 뚫린 ... ...
[표지로 읽는 과학]심해 자유롭게 누비는 로봇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6
생물은 단단한 몸을 가지지 않고서도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리티에펭 중국 저장대 기계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은 마리아나 꼼치를 본 따 심해에서도 자유롭게 헤엄칠 수 있는 부드러운 로봇 물고기를 개발하고 수심 3224m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4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 ...
[과기원은 지금]KAIST오픈벤처랩, 기출창업 예비창업자 모집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KAIST 창업보육센터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 김태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미세유세칩 내부 액체 증발 현상만으로 약물과 신경전달물질 같은 저분자 물질 투입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액체 흐름이 증발이 일어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이용해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