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적은 건 애초에 이 분야로 여학생이 적게 유입되는 탓이기도 하다. 그 이유 가운데 하나로 롤모델 부족이 꼽힌다. 어떤 직업에 대한 롤모델의 존재는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만, 중·고등학생에게 큰 영향을 주는 과학교과서에조차 여성과학기술인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말아야성공적인 복귀를 위해 경력단절 여성 스스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도 있다. 그 중 하나가 경력이 단절되더라도 지도교수, 또는 예전에 함께 일했던 직장 동료나 선후배 등과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일이다. 이화여대 환경공학과에서 수(水)생태 복원을 주제로 석사학위를 받은 김영주 씨는 졸업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어린 배아에 전기충격을 가하면 두 세포가 합쳐져 유전물질이 정상 세포의 2배인 하나의 세포가 됩니다. 융합된 세포는 분열을 이어가는데요. 이것이 태아 밖의 조직으로는 발달할 수 있지만, 정작 태아로는 발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배아줄기세포의 만능성을 시험해보려면 이 융합된 배아 안에 ...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도구였다가 이후 11세기 송나라 때 나침반으로 쓰였다. 나침반은 인류의 4대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힌다. 나침반은 미지의 세계를 향한 인류의 모험을 촉발 시켰고 대항해시대를 열어 세계화의 물꼬를 튼 일등 공신으로 평가 받는다. 인간의 뇌에도 자철석이?과학자들은 자철석이 생체 ...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훨씬 높은 선반이 여럿 달려 있다. 선반마다 시험관이 빽빽하게 서 있다. 시험관을 하나 빼내 안을 들여다보니 양초처럼 굳어 있는 초산과 호밀가루 주위로 초파리들이 날아다니고 있다. 임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초파리 실험을 통해 동물의 행동이 유전적으로 어떻게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못했다고 생각하는 게 더 합리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우주는 무한하고 편평하다또 하나의 가정은 우주 공간이 편평하다★는 것이다. 무한하다는 가정은 확인할 수 없지만, 이는 관측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바로 ‘우주배경복사’ 덕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다울링-윌슨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있다고 밝힌 겁니다. 다울링-윌슨 추측2d≥p일 때 d차원 공간에 있는 점 n개가 초평면하나에 모두 포함되지 않는다면, 그 점으로 결정되는 (p-1)차원 공간의 수는 점 n개로 결정되는(d-p)차원 공간의 수보다 클 수 없다. 예를 들어 d=2이고 p=1이면 이 추측은 정확하게 더브라윈-에르되시의 정리가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들어가는 재료부터 만드는 과정, 장점 등에 대해 적혀있어요. 기억에 남는 구절 중 하나가 고춧가루 없이 만드는 백김치를 ‘매운 맛이 없는 하얀 김치’라고 표현한 부분이에요. 백김치까지 알고 있는 걸 보니 윤석임 교수가 엄청 자세히 알려준 것 같더라고요. MC 유: 김치를 담근 외국 수학자라니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활용해 예술 활동을 하는 인공지능이 늘고 있어요. 구글의 ‘딥드림’도 그 중 하나랍니다.딥러닝은 사람의 뇌를 본뜬 알고리즘이에요. 수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와 정답 사이의 거대한 연결망을 만들어 정답을 찾는 거지요. 이때 답과 연관성이 높은 정보는 연결을 강화해요. 예를 들어 사진을 ...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 변화를 관찰했다.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식물 가지의 분포 변화를 하나의 함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수학 모델에 따르면, 식물은 공통적으로 ‘분리성’과 ‘자기유사성’ 원칙에 따라 성장한다. 분리성은 한 가지의 성장이 다른 가지의 성장과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