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수학동아 l2013년 03호
- 가장 섹시한 수는?!수학자들에게 가장 섹시한 수를 꼽으라고 하면 단연 섹시 소수를 예로 들 것이다. 섹시 소수는 5와 11처럼 차이가 6씩 나는 소수의 순서쌍을 말한다. 그런데 대체 왜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라틴어에서는 6을 ‘섹스(sex)’라고 한다. 수학자들은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한 번 들으면 ... ...
- [W5 코드 브레이커] 치환 암호의 꽃, 비즈네르 암호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바꾸는 규칙을 ‘암호키’라고 하는데, 이 암호키를 모르면 암호를 해독할 수 없다.예를 들어 마수리가 찾아낸 암호 LUAPY를 살펴 보자. 각 철자는 저마다 다른 규칙으로 암호화 돼 있다. 즉, 다섯 글자의 암호키를 알아야 각 글자를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다. 여기서 마수리가 찾 아낸 암호키는 YUNGU다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못하는 상황이나 다른 힘을 이용해 중력과 균형을 이루는 상황을 나타낼 때 쓰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기부상열차는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공중에 띄우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반중력과 비슷하다. 하지만 이는 반중력이 아니라 반중력을 흉내 낸 데 불과하다.그렇다면 다른 힘이 아니라 바로 ... ...
- ➌ 박형동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학과가 다르죠. 그래서 신재생 에너지 중, 어떤 분야를 하고 싶은지 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풍력발전에서 터빈 날개 모양 같은 것은 기계공학이나 조선해양에서 연구합니다. 태양전지는 반도체 연구하는 쪽, 재료공학부나 전기공학부, 화학공학과에서, 바이오에너지는 주로 농대에서 연구합니다 ... ...
- 마틴 루터 킹 연설문이 DNA 속에 ‘쏙’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특정한 길이의 정보(예를 들면 1바이트)를 다른 길이의 염기서열 정보에 대응시켰다. 예를 들어 문자 ‘ㄱ’을 염기서열 ‘TAGAT’이라고 정해 DNA에 기록하는 식이다. 그 뒤 DNA 조각을 25개 염기 단위로 중첩시켜서 전체 정보를 끊어지는 부분 없이 끝까지 이었다.연구팀은 이렇게 ‘기록’하는 ...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결과는 겨우 수십 개뿐이었다.천문학자들은 아직 관측되지 않은 구조물이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더 정밀한 관측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누구도 차가운 암흑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는다.어쩌면 암흑물질은 수정중력이론을 목전에 두고 저지르는 인류의 두 번째 실수일지도 ... ...
- PART2. 피부를 검게 만드는 습관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피부가 흰 이유다.그렇다면 검은 피부는 과연 어디까지 희게 변할 수 있을까. 극단적인 예시지만 팝스타 마이클 잭슨을 보면 본래 흑인이었다는 사실이 믿겨지지 않을 정도다. 나용주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 연구원은 “검어진 피부도 레이저 치료를 받거나 미백 화장품과 자외선 차단제를 ... ...
- '지지리 마란드러'의 겨울방학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바뀐대.”“뭐? 생활 속 수학 이야기와 문제? 그게 뭔데?”“아휴, 뭐 그런 거 있잖아. 예를 들면 여기에 양동이가 두 개 있는데, 하나는 물을 50리터 담을 수 있고, 하나는 30리터를 담을 수 있어. 두 양동이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물 40리터를 뜨려면 어떻게 할까?”물 50리터를 담을 수 있는 양동이와 3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그려진 그래프래. 즉 서로 모두 모르거나 모두 아는 경우지.정말? 그럼 아예 모르는 연예들로 초대하자. 나 요즘 대세인 조정치를 만나 보고 싶어. F1 노홍철도. 근데 우리가 초대하면 올까?서로 모두 몰라야 한다니까. 조정치와 노홍철은 이미 아는 사이잖아. 얼광이는 파티 전에 다시 공부 좀 ...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있다.이런 특징 덕분에 돼지를 의학과 생명과학 모델로 활용하는 연구도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낭포성섬유종의 치료법을 개발할 때 돼지 모델에서는 인간과 동일한 질병 증상이 나타나지만 생쥐 모델에서는 인간과 유사한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다. 치매와 같은 퇴생성 뇌질환도 생쥐 모델은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