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효율을 더욱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송 교수는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광전소자를
여러
분야에서 두루 쓸 수 있다”며 “예를 들면 창문이나 벽지에 넣어 감성적인 조명을 만들거나, 건물 간판에 활용해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쌍극자 - 부호가 정반대이지만 양이 같은 전하가 아주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걸까?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도 초고속열차를 개발했다고?더 빠른 열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이 필요해요. 그 중 가장 중요한 세 가지를 꼽는다면 엔진의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추진 성능’과 멈추는 힘인 ‘제동성능’, 그리고 공기저항을 이길 수 있는 ‘디자인’이랍니다.수백 톤의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커다란 캔버스에는 볼펜에서 나온 다양한 색이 화려한 그림으로 그려지고 있었다."저는
여러
가지 색 볼펜을 이용해 그림을 그리던 중이었어요. 그런데 도둑이 지나가면서 볼펜들을 마구 섞어 버렸네요. 어쩌죠? 볼펜의 잉크와 볼펜이 잘못 연결되면 그림이 엉망이 될거라구요!” 다음 방으로 ... ...
[Editor’s note] 수학동아 폴리매스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수 있도록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수학자와 함께 기발한 문제를 내고,
여러
사람이 의견을 나누며 문제를 풀 수 있는 공간을 만들 겁니다. 기대해 주세요~. 편집장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이탕 장의 연구 방법을 활용해서 n을 더 작은 값으로 끌어내리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여러
명의 지식이 더해지자 연구에 가속도가 붙었다. 이탕 장의 논문이 발표되고 세 달만에 n이 7000만에서 4680까지 줄어드는 놀라운 성과를 냈던 것이다.짧은 기간 동안 모든 걸 불태운 탓인지 8월 이후 3개월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뒤에 최초로 빛이 우주로 뻗어나가면서 남긴 흔적이다. 38만 년 이전에도 빛은 있었지만
여러
입자들이 뒤죽박죽으로 섞여 있어서 앞으로 움직이지 못했다. 그래서 우주는 한치 앞도 볼 수 없는 진흙탕 같은 상태였다.그런데 38만 년 뒤 엄청나게 뜨거웠던 우주가 3000K★(약 2727℃) 정도로 식으면서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특성 등 다양한 요소가 섞여있다. 그런데 초록색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중력파는
여러
잡스런 신호와 섞여있다. 이 때문에 그 안에서 중력파 신호를 구분해 뽑아내야 한다. 중력파 신호를 걸러내는 데는 신호 처리나 샘플링 같은 수학 이론이 쓰인다. 이를 이용해 중력파 신호만을 뽑아내기 위한 ... ...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축구공이 처음부터 정교하고 대칭적인 준정다면체였던 것은 아니었다. 축구의 기원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다. 전쟁 중에 상대편 군인의 머리를 차고 놀았던 데서 유래했다는 무서운 이야기도 있고, 돼지 오줌보를 차고 놀았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있다.이후, 축구가 스포츠 종목이 되면서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두텁지 않다. 거의 매년 수상자를 내는 일본의 경우, 그렇게 물망에 오르는 사람만 매년
여러
명이다. 수준급 과학자의 저변이 넓다는 뜻이다. 해외 선진국에서 유행하는 연구를 좇지 않은 지도 한참이다. 과학 분야 일본 수상자 21명 중 국외에서 최종학위를 받은 사람은 세 명뿐이다. 나머지는 다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대표적이다. 미국 하버드대가 생태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관리하는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단풍 관측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