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d라이브러리
"
세상
"(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이랑 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추진단 042-866-5205홈페이지 www.expopark.co.kr엑스포과학공원에서 시원한 여름과학
세상
이 펼쳐져요. 실내온도 영하 18℃가 유지되는 얼음나라 극지체험관을 비롯해 엑스포과학공원의 다양한 전시관들을 둘러보다 보면 더위는 사라지고 말 거예요~.2006 고흥우주항공축제기간 2006년 7월 28일~8월 1일장소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애니메이션을 잘 만드는 나라가 될 거야.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빛낸 작품들이에요〜
세상
에서 가장 멋있는 세계현실보다 더 진짜 같고, 현실보다 훨씬 재미있고, 현실보다 훨씬 아름다운 애니메이션의 세계.처음 만들어진지 100년도 지나지 않았지만 과학기술에 힘입어 애니메이션은 놀라운 발전을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이루고 있는 세포까지는 볼 수 없죠. 하지만 도구를 사용하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세상
도 볼 수가 있어요. 보통 크기의 작은 물체라면 돋보기로 충분하고, 작은 미생물이라면 광학현미경으로볼수있지요. 그러나 나노미터크기의 물체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전자현미경과 같이 정밀한 장치가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깨순이에게 어느 날 굉장한 사건 의뢰가 들어왔다. 의뢰인은 바로 에스메랄다. 얼마전
세상
을 떠난 할아버지로부터 값비싼 다이아몬드를 상속받은 행운의 주인공이다. 아침부터 다급한 발걸음으로 탐정 사무소를 찾은 그녀의 얼굴은 창백하게 질려 있었다.“다…, 다이아몬드를 찾아 주세요.”탐정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사람이 붉은망토를보고흥분한다.섬뜩한 눈동자를 가진 뱀은 어떤
세상
을 바라보고 있을까? 뱀은 사람이 볼 수 없는 적외선을 감지한다. 따라서 먹이의 몸에서 나오는 열을 느끼고 사냥할 수 있다. 뱀의 눈은 적외선투시카메라 같기때문에 밤에도 사람을 볼 수 있다.곤충의 ... ...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진화하는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더 큰
세상
을 가상공간 속에 만들었다. 모바일로 언제 어디서나‘접속’할 수 있는
세상
에 살게 된 우리. 진화하는 네트워크는 우리 삶을 또 어떻게 바꿔놓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진화하는 네트워크기획1. 모바일 三國志기획2. 커넥티드(Connected ... ...
우주를 꿰뚫는 코드, 단순함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빙글빙글 도는 행성의 움직임은 그 시대 사람들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영역에 있었다.
세상
이 혼란스럽다는 점을 지지해줄 단순명쾌한 법칙이 필요했을까. 당시 사람들은 자연의 무질서를 신의 변덕 때문이라고 믿었다.무질서해 보이는 현상의 뿌리에는 단순한 인과법칙이 존재한다. 문제는 ... ...
INTRO 8일간 환상의 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중력의 위대함을 느껴보자.DAY 7 관광우주에 도착한 당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무중력
세상
속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디지털 카메라에 담을 수 있다. 지구에서 느끼지 못한 배설의 어려움을 감당해야 한다. 잠을 자는 동안 둥둥 떠다닐 당신을 묶어 둘 침낭을 확인하는 일도 우주여행의 또 다른 ... ...
또 하나의 달이 된 '아누셰 안사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덜 되서 몸놀림이 부자연스러웠지만 너무 행복했어요. 이란 국기를 단 우주복을 입고
세상
에 알리는 것도 제게는 큰 영광이었답니다. 이란에서는 여성을 달로 표현해요. 그래서 ‘또 하나의 달’이라고 부르는 것이에요.Q_우주인을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한마디두 가지를 당부하고 싶어요. 첫 번째로 ... ...
어과동과 함께 월드컵 역사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이름보다 사람의 특징을 잘 나타내 줍니다. 나라의 별명도 마찬가지지요. 축구
세상
만큼 나라의 별명을 자주 쓰는 곳도 드문데요. 월드컵은 많은 나라들에게 영광스러운 별명을 만들어 줬습니다. 흥미진진한 각나라들의 별명들을 알고 나면 이번 월드컵이 더 재미있을 거예요.아트사커 프랑스예술을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