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폐식용유를 이용해 무공해 비누를 만드는 데 대한 주부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백
화점 등에서 자원재활용전시를 통해 폐식용유를 이용한 무공해 비누만들기 실연을 하면 연일 많은 주부들이 참가해 직접 만들어 보고 제작요령을 메모해가는 열의를 보인다.시중에서 판매하는 세탁비누와 ... ...
물리 - 직류와 교류의 흐름 글씨로 나타낸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않고 9V 건전지를 이용해 직류 전기의 흐름을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일반 가정의 1
백
V나 2
백
20V의 전류로도 교류 전기의 흐름을 알아볼 수 있으나, 이 방법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직류전원장치를 이용해 12V 이하의 교류 전원을 사용해야 합니다 ... ...
1. 동호회 '엠팔'서 출발 세계 '인터네트' 가입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수 없을 정도로 우리 생활에 가까이 와 있다.더욱이 한국통신에서는 세계적으로 1천5
백
만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네트를 94년 8월부터 상용으로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이 사건은 컴퓨터 통신 분야에 또 한번의 획을 긋는 일이다. 이제 우리의 컴퓨터 통신 분야도 보급률뿐만 아니라 내용에 ... ...
원자로 기술자립의 표본 한국형 경수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없다. 따라서 러시아형의 건설비는 한국형에 비해 반밖에 들지 않는다(한국형은 1
백
만 kW짜리 건설비용이 1조7억원 ).과거 동독은 러시아형 경수로 4기를 운영했고 4기를 건설중이었으나 통일 독일이 된 후 모두 폐기하고 말았다. 서방세계 중 유일하게 러시아형 경수로 1기를 건설했던 핀란드는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인공단
백
질을 실제로 설계하고 합성한 예는 천연 단
백
질을 개량한 개조 단
백
질에 비해 그리 많지는 않으나, 최근 몇몇 연 ... 법칙을 발견함으로써 더 빨리 다가올 것이다. 이 시대가 되면 단
백
질 개량뿐 아니라, 필요한 단
백
질 주문 생산도 가능해질 것이다 ... ...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식물들과 다른 재료들에 대해 측정한 결과 '얼음 인간'이 살았던 시대는 5천1
백
년에서 5천3
백
년 전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그때는 이미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수메르의 고대 도시들이 생겨났고 바퀴 달린 탈것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포도주를 익혀 먹기도 했다. 문명이 형태를 갖추어가던 ... ...
폐기물처리연구 16년 - '쓰레기 박사' 별명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돌리어 화학공학자로서는 제일 먼저 이 분야의 우물을 파기 시작했다고 자부한다.전국 5
백
여 공장을 순회하면서 폐수처리 기술개발과 설계지도, 아울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하여 전국 수십 개의 쓰레기 매립지에서 쓰레기 더미와 더불어 조사 연구한 지 16년이 지나 '쓰레기박사'가 됐다. '쓰레기박사 ... ...
3. '통신 천국' 미국 온라인 서비스망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워리어'를 일본의 니프티서브에 수출하는 등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에는 1
백
여명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3차원 가상현실 온라인 게임인 '사이버 스트라이크'를 유치해 더 많은 게임 매니아들을 유혹하고 있다. 현재 지니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는 세계 최대의 게임 전용 ... ...
달도시, 21세기 세워진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무수한 크레이터들로 얼룩져 있다. 이 크레이터는 지름이 수m 짜리의 작은 것에서부터 2
백
km짜리 대형까지 매우 다양하다. 달 표면을 장식하고 있는 크레이터는 지구의 분화구와는 달리 달의 내부물질이 폭발한 것이 아니라 우주공간에서 날아온 운석들이 부딪쳐 생성된 것이다. 달에는 보호막(대기 ... ...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일은 달에 충돌하기 직전까지만 할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 당시 달의 사진들은 달표면 3
백
m 이상의 상공에서 찍은 사진들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달사진 찍기가 간단했다는 말은 아니다. 여러 차례 실패를 거듭한 끝에 1964년에 발사된 레인저 7호가 처음으로 근접 달사진을 찍는데 성공하였다. 이어 196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