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나란히 두면 한쪽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다른 쪽 코일에도 전류가 흐르는 상호유도
방식
을 이용한 것이다.안경에 1차 유도코일을 장착하고 눈 안의 인공망막 칩에 2차 유도코일을 넣은 뒤 1차 유도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인공망막으로 전기신호가 전달된다. 눈 안에 넣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이 2차 ... ...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방식
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증명됐지만 조류발전은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해 어느
방식
이 유리한지 속단하기는 이르다. 이 본부장은 내년쯤 조류발전소를 완공할 목표로 4월부터 다시 울돌목으로 나갈 예정이다. 지난해의 실패를 딛고 한반도의 바다에 가장 적합한 시험 조류발전소부터 새로 ... ...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곧바로 탑승자가 산소통만 갖고 튀어나갈 수 있도록 이런 오픈카
방식
을 택했다. 이 때문에 수중에서는 운전자가 산소마스크를 쓴 채 운전을 해야 한다.스쿠바는 어떻게 물속에서도 달릴 수 있을까. 물속에서는 물의 압력 때문에 차를 조종하기 어렵다. 사고로 차가 물에 빠지면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정보를 계산해 결과를 도출하는 해마의 메커니즘을 수학적으로 분석한 뒤 이와 연산
방식
이 동일한 인공해마(실리콘 칩)를 만들었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시어도어 버거 교수는 쥐의 뇌 해마에 이 칩을 이식했다. 연구팀은 쥐의 손상된 해마를 여러 조각으로 잘라 각 부위를 전기신호로 자극했다.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때처럼 높은 전압을 공급하는 2선 외에 중성선(中性線)을 포함하는 3선을 사용하는 배전
방식
단상교류전원으로 운전되는 유도 전동기 일반적으로 075kW 이하의 소형이 많으며, 가정용 전원 또는 휴대용 전원으로 간단히 운전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가정이나 농어촌 등에서 전선을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변환시키고, 그 전력을 전기자 회로에 접속한 부하 저항에서 소비시키는 제동
방식
다이나트론(음저항)의 특성을 이용한 발진기 3극관이나 4극관의 그리드 또는 가리기그리드 전압을 양극(陽極) 전압보다 높이면, 양극에서 나온 2차 전자가 그리드나 가리기그리드의 역방향으로 흐름으로써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생물의 기원에 대해 ‘왜’라는 질문을 던진다.”어쩌면 곤충들이 택한 ‘삶’의
방식
에 대해 인간이 이러쿵저러쿵 간섭하거나 의문을 던지는 일 자체가 불필요한지도 모른다. 세심한 관찰자인 파브르는 그가 관찰한 곤충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전달하길 원했다. 모든 것을 원인과 결과로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수컷을 부른다. 암컷이 이동하는 것보다 수컷이 위험을 감수하고 암컷을 찾아오는
방식
이 자손을 퍼뜨리는데 효과적이다. 페로몬은 곤충이 의사소통을 할 때 이용하는 화학 물질로 몸에서 분비된다. 페로몬은 암컷 겨울자나방이 날개를 퇴화시킨 대신 선택한 비책인 셈이다.마른 낙엽이 즐비한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직접 흘리는
방식
대신 몸을 사이에 둔 송신기와 수신기 양쪽 끝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방식
을 많이 사용한다. 이때 몸에 실제로 흐르는 전류는 인체에 위험한 전류 크기(최대 1mA)의 10만 분의 1에 불과한 수준.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의료연구단체에 의뢰해 인체통신의 안전성을 시험하고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모세혈관을 모방한 시스템에 혈액을 넣어 적혈구가 얼마나 통과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식
이다. 현재 연구팀은 당뇨병과 그로 인한 신부전증이 적혈구가 유연성을 잃게 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임상시험으로 확인한 상태다.적혈구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가장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