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신호전달물질을 사용해 분화효율을 높였다.2030년 줄기세포치료는 어느 단계까지
발전
할까? 김재상 교수는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심장근육세포나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 연골세포처럼 메커니즘이 비교적 단순한 경우는 줄기세포치료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 ...
"돼지, 이것도 모르면 안 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바칠 돼지가 달아난 곳을 뒤쫓아가 보니 그 곳의 위치가 전쟁을 피하기에 좋고 나라가
발전
할 터라 수도를 옮겼다고 한다.유리왕의 아버지인 주몽도 이러한 돼지의 활약상을 들었다면 돼지가 참으로 신통방통하다 했을 듯! 또, 고려 태조의 할아버지가 서해 용왕을 도와주고 용왕의 딸과 함께 얻은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오른쪽 윗사진)다. 지도는 이후 그 모습을 더욱 더 넓히고 정확하게 만들면서 꾸준히
발전
하고 있다. 만약 잭 선장이 보물섬의 위치가 표시된 보물 지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지도가 정확하게 만들어졌다면 보물을 찾을 수 있겠지만 지도가 엉터리라면 보물을 찾기는커녕 엉뚱한 곳에 가서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계측 등을 할 수 있다약 4질량백분율까지의 규소(Si)를 함유하는 규소강은 변압기 ·
발전
기 · 전동기의 자심(磁心) 재료로서 가장 적합한 재료이다1934년경 N P 고스에 의해 발명된 이래 소량의 망간(Mn) · 황(S)과 약 25~35wt% 규소를 함유하는 규소강에 압연율 약 70%의 제1냉간압연, 중간 풀림〔燒純〕,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일종인 붉은곰팡이를 사용한 생화학적 돌연변이의 연구를 발표하고부터 급속히
발전
했다미생물 재료로는 붉은곰팡이나 효모 등 균류 외에 대장균·살모델라균·고초균 등 세균류와 박테리오파지나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등 바이러스류가 많이 사용된다 독일의 E 미처리히에 의해 고안된 가장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가장 좋은 청정에너지다. 석유를 먹어야 움직이는 자동차는 이제 안녕∼! 자가
발전
하는 자동차 배터리 스타트 유어 엔진시동이 잘 안 걸리는 자동차 때문에 난처해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런 경우는 배터리 전력이 다 닳았을 가능성이 99%. 수소와 산소를 이용해 영구적으로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발전
을 따라 마술의 중심도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갔어. 이후 풍부한 돈과 과학 기술의
발전
으로 마술은 점점 더 화려해졌고, 미국의 브로드웨이와 라스베가스에 대형 공연장이 생기면서 마술 공연은 더욱 거대해졌지. 이것이 오늘날의 화려한 마술공연으로 이어지고 있는 거야.마술사,누구야~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복제에는 쓰지 않는다고 해. 동물 복제로 멸종위기 동물을 되살리기에는 아직 기술이 더
발전
해야 해. 환경 단체들은 복제에 드는 비용을서식지 보호에 쓰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단다.유전자를 보관할 뿐만 아니라 살아 숨쉬는 동물들도 지구에 가득하면 더 좋을 것 같아.남생이가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이야기라구요? 아니에요. 이보다 훨씬 더 놀라운 일들이 펼쳐질지 모릅니다. 모바일의
발전
속도는 정말 무서울 만큼 빠르니까요. 모바일이 만들어낼편리하고 멋진 미래의 모습. 즐거운 마음으로 상상해 봐요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마비되었지만 컴퓨터와 연결된 음성합성장치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사이보그 기술이
발전
하면 언젠가 스티븐 호킹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1998년 영국 레링대학교의 캐빈 워릭 교수는 팔에 신경칩을 삽입하는 수술을 했다. 최초의 사이보그가된 것이다. 몸 속에 삽입된 칩은 개인에 대한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