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국가적인 재앙이 될 수 있다. 정부는 2013년 우주전파 재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을 만들고,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의 위기 경보에 따라 위성, 항공, 항법, 전력, 방송통신 등 관련 기관의 행동 요령을 지원하고 있다. 매뉴얼은 지금까지 6차례 개정됐으며, 올해 한 차례 더 개정을 거쳐 연말에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하는 신호물질을 방출했다. 연구진은 리신과 아르기닌이 많이 든 음식을 먹으면 쉽게 포만감을 느끼게 돼, 체중감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고기 등심, 닭, 고등어, 자두, 살구, 아보카도, 렌틸콩, 아몬드 등이 이에 속한다. 니콜라스 데일 신경과학과 교수는 “띠뇌실막세포의 새로운 ... ...
- [과학뉴스]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람들은 이런 유사성이 적응의 결과로 나타난 ‘수렴 진화’ 때문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오래 전부터 피부색과 관련한 유전자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설명했다. 그는 “눌굽(낟가리를 쌓기 위한 터)의 신인 ‘눌굽지신’도 제안했지만, 영문 자료가 적고 발음이 어려워 일차 탈락했다”고 덧붙였다. 2007년 발사된 돈은 2015년 세레스에 도착해 현재 상공 약 23만8000km를 돌며 지구로 자료를 보내고 있다. 자청비를 포함해 지금까지 세레스에서 지명이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2017년은 ‘양자컴퓨터의 해’로 기록될 것 같다. 정보기술(IT) 업계를 좌지우지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양자컴퓨터 개발이 올해 성숙기에 접어 ... 것으로 보인다. 포브스는 이런 IBM의 전략에 대해 “현재는 IBM이 영업 감소 위기를 맞았지만, 양자컴퓨터로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주에서도 쓰일 수 있다. 지구 저궤도에서 활동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을 방탄 소재로 만들면 극초음속으로 날아다니는 우주쓰레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첨단 방탄 재료가 지상의 모든 운송 수단에 사용될 날이 멀지 않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가속기가 책상 위에 올릴 수 있을 만큼 작아져 누구나 쉽게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가 아는 지식의 경계는 훨씬 더 넓어질 것이다. 가속되는 입자의 에너지를 더 높이고 발생한 입자의 빔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뻤다”고 말했다. 논문이 제시한 결론은 “뒤로 걸어라”이다. 이그노벨상에 선정될 만하다. 한 씨는 논문에서 “물론 뒤로 걸으면 커피의 흔들림이 점점 커지다가 흘러 넘치는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보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더 커진다”며 “이는 가장 확실하게 커피를 넘치게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없다. 설사 이 분야에서 수상자가 나오더라도 누가 선정될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다만 몇 가지 힌트는 얻을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세계 과학자 29만 여 명의 연구 업적을 추적하고 있는 이성종 한국연구재단 국책기술전략팀장은 “페니실린이나 파란색 LED 개발 같은, 오래된 난제를 ... ...
이전3473483493503513523533543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