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료과학]게코도마뱀 발바닥보다 접착력 큰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달라붙는 원리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테이프가 개발됐다.미국 데이턴대 화학·재료
공학
과 리밍 다이 교수팀은 게코도마뱀 발바닥 미세구조를 모방한 탄소나노튜브를 만들어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 이 도마뱀보다 10배가 더 강했다고 ‘사이언스’ 10월 10일자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게코도마뱀이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나노 세계어떻게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나 분자를 볼 수 있을까. KAIST 원자력 및 양자
공학
과 최성민 교수가 이끄는 중성자 산란 및 나노스케일 물질 연구실에서는 중성자를 이용해 nm(나노미터, 1nm=10-9m)크기의 물질을 들여다본다.전하를 띠지 않는 중성자는 원자핵과 부딪히면 움직이는 방향이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발표한 SCI급 논문 120편이 인용된 횟수는 무려 1000번에 이른다.나노기술, 환경기술, 생명
공학
기술, 그리고 정보기술. 나노공정연구실은 ‘융합의 고수’라는 명성에 걸맞게 분야를 넘나들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는 데 여념이 없다.고수의 비법 전수자신의 전공 분야에만 집착하지 말라. 다른 분야로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건물은 더 큰 피해를 입는다.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
공학
부 김재관 교수는 2005년 한국지진
공학
회에 발표한 논문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서울 동부 지역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강남지역 대로변의 피해 정도를 가상실험으로 예측했다. 고층 건물보다 저층 건물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는데 김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현재 KAIST 바이오및뇌
공학
과와 기계
공학
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0년부터 창의적연구진흥사업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장으로서 생명체의 극미세 구조와 원리를 모사한 N/MEMS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2008년 과학기술포장 서훈을 받았다 ... ...
환경재료
공학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전 세계적으로 잘 살아갈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산업 분야는 도태되기까지 한다. 과거에 만든 물품의 재료는 물론 새로 만들어질 물품 ... 방향으로 뛰어가면 360명 모두 일등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이 말이 잘 적용되는 분야가 환경재료
공학
이 아닐까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보고 NASA라는 곳을 처음 알게 된 신 박사는 항공우주 분야에 큰 관심을 갖고 연세대 기계
공학
과에 입학했다. 하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자신이 NASA에 들어가 지금의 위치까지 오르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대학 재학 시절에는 평범한 학생이었습니다. 그저 나중에 모교에서 후배들을 가르치고 싶은 ... ...
화성 탐사의 최전선 JPL을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JPL)는 미국에서 로켓을 처음으로 만든 곳이다. 1936년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젊은
공학
자들이 대학 안에 결성한 연구소에서 출발한 JPL은 얼마 뒤 연구용 로켓 엔진이 위험하다는 이유로 현재의 위치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쳐 1958년 NASA에 소속됐지만 여전히 칼텍의 관리 아래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헝가리 세게드대) ‘퍼즐 푸는 점균(粘菌)류 발견’(네이처)평화 > 스위스 비(非)인류 생명
공학
윤리위원회, 스위스 시민.‘식물의 존엄성 인정 법안 통과’고고학 > 아스톨포 멜로 아라우조, 호세 카를로스 마르셀리노(브라질 상파울로대) ‘아르마딜로의 활동으로 뒤범벅되는 고대 유물 연구’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번개를 만드는 ‘테슬라 코일’을 만날 수 있다.테슬라 코일은 세르비아계 미국인 전기
공학
자 니콜라 테슬라가 19세기 말에 발명한 특수 변압기의 일종이다. 국립과천과학관에 들어선 테슬라 코일은 전시용으로 설치된 것 가운데 세계 최대라는 게 과학관 측 설명이다. 국립과천과학관 전시연구센터 ... ...
이전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