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차광열 줄기
세포
상에 美존스홉킨스대 마리나 프리츠코바 교수
연합뉴스
l
2020.10.28
기술의 혁신적인 연구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을 시상한다. 제8회 '차광열 줄기
세포
상' 수상자로 선정된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과 마리나 프리츠코바(Marina Pryzhkova) 교수. 2020.10.28. [차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코로나19 침투 막을 새 유전자 표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단백질을 제거하고
세포
막과 융합될 때는 다양한 ATP가수분해효소(ATPase)가 관여한다(3).
세포
내막(엔도좀) 재활용에 관여하는 레트로머, 커맨더 등의 유전자군도 관여한다(4). 셀 논문 캡쳐 ... ...
인체
세포
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조력자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실렸다. 윌렌 교수는 “고령층이 코로나19에 취약한 이유를 찾기 위해서라도 인체
세포
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내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에 발견된 단백질이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트럼프 극찬한 항체 치료제 실제 써보니 '효과 탁월'
연합뉴스
l
2020.10.27
전투병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하면 바이러스의 돌기에 달라붙어
세포
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인체는 많은 다양한 항체들을 생산하며, 중성화 항체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이들 항체 가운데 바이러스의 돌기에 가장 잘 달라붙을 수 있는 항체를 찾는 데 ... ...
폐포 배양해 코로나19 감염시켜 보니 6시간만에 완전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며 “동물 장기
세포
가 아닌 호흡기 바이러스의 표적
세포
인 사람의 폐포를 직접 활용했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감염 기전을 규명할 수 있고, 치료제 개발에도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생체시계' 텔로미어, 암 치료제로 제2의 전성기 맞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말했다. 윤 교수는 “텔로머레이스를 이용해 텔로미어를 정확히 조종할 수 있다면 암
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노화 연구에서도 진척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유럽임상연구저널’ 8월 9일자에는 텔로미어 길이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상관관계가 있다며 텔로미어 ... ...
국산 항체치료제 후보물질 코로나19 주요 유전형에 효능
동아사이언스
l
2020.10.25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그럼에도 혹시 모를 효능 차이를 실제
세포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해 바이러스 유형이나 변이 여부에 상관없이 치료제로 사용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 ...
[과학게시판] 제1회 과학기술미래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24
분야 9개 학회가 참석했다. 권재영 성균관대 교수가 퇴행성 뇌·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
·유전자 치료제 기술을, 이윤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가 노화개선·극복을 위한 다학제간 융합기술을 발제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의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로 슈퍼브에이아이, ... ...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돕는 새 단백질 찾았다...치료제 표적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패턴이 다른 경우도 많았다”라며 “이번 연구로 인체
세포
중 ACE2 발현이 낮은 인체
세포
에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위해 NRP1을 활용할 가능성을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야마구치 교수는 ”향후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할 때 NRP1과 스파이크 단백질이 결합하는 과정을 주요 표적으로 ... ...
인도 연구팀 "코로나19 혈장 치료 효과 거의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같은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이먼 클라크 영국 레딩대
세포
미생물학과 교수는 “임상의학적으로 환자에게 전혀 효과가 없다”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의 정도를 줄이는데 아주 적은 효과가 있지만 환자를 질병에서 회복시키는데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고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