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월 5일이 동방최대이각이었던 수성은 빠른 속도로 움직이더니 이달 19일에는 서방최대이각을 이루며 새벽의 동쪽 하늘에 나타난다. 특히 이때의 이각이 27.5도로 지난 달보다 약 10도 가량 클 뿐만 아니라 새벽하늘이라는 이점까지 겹쳐 관측이 훨씬 유리할 것이다.광도는 0.2등급으로 마차부자리의 ... ...
- PART.3 게임제작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지원되도록 했고, 중간에 구성원 일부가 빠져나가 고전한 끝에 내놓은 폭스레인저 II는 최대의 용량을 자랑하고 있다.한동안 인원문제로 내부진통을 겪느라 작품 발표가 뜸하던 SA팀은 이번 봄에 두가지 게임을 발표하느라 분주하다. 국내 처음으로 액션과 롤플레잉이 결합된 게임인 '메카탐정'과 ...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처럼 페이로드 용량을 최소로 줄여 잡은 것은 작으면서도 최대의 효율을 추구하는 일본인들의 체취가 물씬 풍기는 일면이다.H2 로켓에는 1,2단 모두 액체수소/액체산소를 연료로 하는 로켓이 장착됐다. 특히 1단에 장착된 LE7엔진은 옛소련의 에네르기아와 미국의 ... ...
- 지역별로 본 한국인 얼굴의 특징과학동아 l1994년 03호
- 따른 얼굴측정치의 단계적 차이는 얼굴의 가로폭에서도 마찬가지 경향이다.얼굴의 가로 최대폭을 재보면 한국인 일본인 태국인이 각각 1백41.74mm, 1백41.00mm, 1백39.27mm로서 비록 차이가 크지는 않지만, 한국인이 넓고 태국인이 좁다.얼굴의 인상형성에는 이마의 모양도 크게 관계한다. 단 연령이나 ...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기술을 이용해 인공위성 발사 로켓인 디아망(Diamant)을 개발했다. 디아망 로켓은 높이 23m, 최대지름 1.4의 3단 로켓이었다. 1단과 2단 로켓은 액체 추진제 로켓이고 3단 로켓은 고체 추진제 로켓. 발사할 때의 로켓 무게는 18.4t이고 추력은 30t이였다. 프랑스는 디아망 로켓을 이용, 1965년 11월 26일 A-1 ...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수 있는가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1㎠의 공기속에 수증기 형태로 포함될 수 있는 물의 최대량은 30℃에서 30.4g이지만 20℃에서는 17.3g, 0℃에서는 4.8g, 영하 30℃에서는 0.44g이 되는 등 온도가 내려갈수록 적어진다.혹 어떤 이유로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가 식게 되면 내려간 온도에서 포용될 수 ... ...
- 디지털 고속도로 종합정보통신망과학동아 l1994년 02호
- 통합된다.국내에서 현재 제공중인 ISDN 서비스는 초보적인 수준이다. 전화선 하나에 최대 8대의 통신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이중 2대의 통신기기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현재 전화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알아보자.ISDN 전화기 : 전화선 하나로 전화 팩시밀리 컴퓨터통신 등 두가지를 동시에 ...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과학동아 l1994년 02호
- 금성은 10월 달까지 계속 커지면서 -4.6등급까지 밝아진다. 물론 태양과의 이각도 동방최대이각이 되는 8월 25일까지 계속 증가하여 지평고도도 높아진다. 망원경을 갖고 관측하는 사람이라면 금성의 위상 변화와 시직경의 변화를 스케치하거나 사진을 찍어 확인해 보라. 이 금성의 위상 변화가 ...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한번 데이터를 기록하면 다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는 CD 디스크의 한계를 넘어 최대 1백개의 고화질 사진을 하나의 디스크상에 디지털 방식으로 압축 저장하는 것이다. 싱글세션이란 한번만 사진을 수록하는 것이고 멀티세션이란 사진의 기록이 여러번 가능하다는 뜻. 기술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과학동아 l1994년 02호
- 구덩이가 형성됐다고 했다(그림2).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운석충돌설의 최대 약점은 달표면의 크레이터가 모두 원형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었다.이것은 크레이터가 충돌에 의해 만들어진다면 운석이 달 표면에 떨어지는 각도에 따라서 여러 형태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비스듬히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